본문 바로가기

강청71

유경당(劉慶棠)이 본 "사인방(四人幇)" 유경당(劉慶棠) 구술 진도수(陳徒手) 정리 유경당이라는 '발레왕자'는 문혁때 관직이 문화부 부부장, 중공10대 주석단성원, 제4기 전인대 주석단성원에 이른다. 1976년, '사인방'이 타도된 후 즉시 격리조사를 받았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문화부 부부장으로 있던 유경당은 사인방과 밀접하게 접촉했고, 그들의 행동거지를 눈으로 보고 귀로 들었다. 상사와 부하관계, 동료관계, 친구관계이므로 피차간에 애증이 교차할 것이므로 어느 정도 편향될 수는 있고 완전히 객관적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각도에서 보자면, 우리가 사인방을 이해하는데 조금 다른 측면에서의 인식과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다. 1. 요문원(姚文元): 산양처럼 수염을 길렀다. 유경당의 인상 속에서 요문원.. 2023. 3. 2.
팽덕회(彭德懷) 죽음의 배후 글: 임휘(林輝) 1974년 12월 17일, 한 구의 시신이 301병원에서 비밀리에 화장장으로 보내어져 화장된다. 화장신청서에 쓰인 것으로는 "신청인: 왕규(王奎), 주소: 301, 사망자와의 관계: 부자, 사망자성명: 왕천(王川), 남, 76세, 번호: 0012690" 사실상, 이 왕천이라는 이름의 인물이 바로 중국의 전 국방부장, 원수 팽덕회였다. 중공내부에서 팽덕회는 성격이 솔직하고, 충동적이며, 감히 직언을 마다하지 않고 정의감이 넘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일찌기 항전시기, 팽덕회는 중공의 적극항전을 주장했다. 서북의 구석에 숨어서 병력과 힘을 비축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가 주도한 "백단대전(百團大戰)"은 바로 모택동의 '마작전'만 하라는 지도사상을 어기면서 진행한 것이다. 이 전투는 중.. 2023. 1. 31.
중국은 왜 항상 "국내외적대세력"을 들고나올까? 글: 왕우군(王友群) 1949년 중국공산당이 정권을 잡은 이후, 수십번에 걸쳐 피비린내나는 정치운동을 발동시켰다. 매번 정치운동때마다 중공에 숙청당한 대상은 모두 중공에 의해 "국내외적대세력"과 관련이 있다고 칭해졌다. 즉, "자산계급의 당내대리인" 혹은 "국내외적대세력의 당내대리인"이라고 규정되었다. 고요(高饒)는 "자산계급의 당내대리인"으로 규정되다. 1954-1955년 중공은 당정후 첫번째 반당집단을 규정했다. "고강(高崗),요수석(饒漱石)반당연맹"이다. 고강은 당시 중공정치국위원, 중앙정부부주석, 중앙군위부주석, 국가계위주석이었고, 요수석은 당시 중공중앙조직부장이었다. 고요는 중공에 의해 모택동을 우두머리로 하는 당중앙영도핵심을 '전복하기를 기도하고' '당과 국가의 최고영도권을 찬탈하고자' 했다고.. 2022. 12. 11.
홍위병(紅衛兵) 현상에 관한 반성 글: 관우당주(觀雨堂主) 1 홍위병운동은 지난세기 문혁에서 빠트릴 수 없는 일종의 현상이다. 세계의 범위에서 말하자면, 더더욱 아주 독특한 현상이다. 이 현상은 비록 잠시 나타났지만, 영향은 아주 크고 깊었다. 중공의 독재통치와 불가분이며, 후세에 남긴 사고의 공간은 아주 광활하다. 국내외의 학자들이 문혁을 연구하려면, 홍위병운동이라는 이 기본현상을 피해갈 수 없다. 사실상, 홍위병운동에 대한 연구는 서방지식계의 문혁에 대한 연구보다 뒤쳐졌고, 국내의 대기근에 대한 연구보다 뒤쳐졌으며, 중공의 정풍반우(整風反右)에 대한 연구보다 뒤쳐졌다. 이는 당연히 중국이 국내에서 홍위병에 대한 연구를 금기시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그외에 한가지 현저한 제약조건은 당시 홍위병운동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인물들이 지금도 .. 2022. 9. 2.
웨이징셩(魏京生): 홍얼다이인 그는 어떻게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는가? 글: 소우(蕭雨) 웨이징셩, 1950년생. 부모는 모두 중국의 고위간부이다. 어려서부터 한편으로 베이징의 가장 좋은 학교에서 중국공산당을 사랑하자는 홍색교육을 받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중공 고위층의 권력투쟁을 보고 들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발발하면서, 16세의 웨이징셩도 홍위병에 참가한다. 그는 말했다. 그때는 열정이 넘쳤다. 공산당을 보위하고, 모주석을 보위하고, 정말 죽음도 겁나지 않았다. 남북으로 돌아다니면서 이 고관자제는 처음으로 하층민중들의 질고(疾苦)를 목격하게 된다. 시골지역의 가난은 그를 깜작 놀라게 만들었다. 당국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부모는 그를 안후이의 고향으로 보내어 농사를 짓게 했다. 일찌기 어미지향(魚米之鄕)이던 그곳은 만신창이가 되어 있었다. 이는 1950-60년대 중.. 2022. 4. 12.
강청(江靑)이 남긴 20자의 유언 글: 섭영렬(葉英烈) 중국관영매체 신화사는 1991년 6월 4일 강청의 자살소식을 전달했다. 기실 강청의 자살시간은 1991년 5월 14일이다. 미국작가 로스 테릴은 3시 30분이라고 적었다. 한 간호사가 들어왔다가 그녀가 이미 욕조위에 목을 맨 것을 발견한다. 다른 의사와 간호사들도 황급히 달려왔지만 이미 때가 늦었다. 이 배우, 정치가, 문화여황이며 모택동의 처였던 '백골정(白骨精)'은 77세의 나이로 이렇게 세상을 떠났다. 저명한 진성감옥(秦城監獄)은 베이징 창핑현 동북의 친청향(秦城鄕)에 위치하고 있다. 감옥의 동원(東院)은 외부와 완전히 폐쇄되어 있었다. 강청이 거주한 곳은 독립주택으로 몇 개의 초소가 있었다. 그녀는 신문을 볼 수도 있고, 라디오를 들을 수도 있고, TV를 볼 수도 있었다. 그.. 2022.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