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중국의 군사76

장군진급명령: 시진핑의 월권인가? 글: 왕해천(王海天) 18대후, 중공고위층의 인사변동이 일어난 후, 신속히 군부로 확대되었다. 11월 23일, 신임 중공중앙군사위 주석인 시진핑은 베이징에서 최초의 군부인사진급명령장을 수여했다. 제2포병사령관 웨이펑허(魏鳳和)를 상장(上將, 중국의 사성장군)으로 승진시켰다. 해외각.. 2012. 11. 25.
중국인민해방군의 10차례에 걸친 인원감축 글: 왕남방(王南方) 신중국건국후의 60년동안, 해방군은 10번의 감원을 겪었다. 1950년 6월, 해방군은 제1차 대감원을 실시한다. 당시는 신중국이 막 성립된 때여서 인민해방군의 총병력은 550만명에 달하였다. 소미가(小米加)소총(compact MEGA particle rifle)을 든 보병이 중국인민해방군의 주력이었다. 공군, .. 2010. 10. 8.
중국 고대의 열병(閱兵) 글: 유개생(劉開生) 금년(2009년) 10월 1일은 신중국탄생60주년기념일이다. 그 때가 되면 천안문광장에서 열병식을 거행할 것이다. 사상유례없는 성황을 이룰 열병식은 민족정신을 크게 진작시키고, 국민의 민족자부심과 애국심을 고무시킬 것이다. 세계는 다시 한번 중국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 2009. 9. 23.
인민해방군 7대군구의 작전임무와 작전방식 1. 난주군구(蘭州軍區) 작전임무: 3가지이다. 첫째, 북경군구를 협조하여 북방적군의 침입을 방어하는 것. 보계, 임동의 부대임무는 바로 이것이다. 둘째, 신강독립을 억제하고, 신강내부안정을 확보하며, 동시에 중앙아시아지역의 반동세력에 위하력과 소탕업무를 수행하는 것. 주로 신강의 농간사(農.. 2008. 12. 29.
중국 무경(武警) 부대의 유래 중국인민무장경찰부대 총부는 1983년 4월 5일에 성립되었다. 무장경찰부대는 국가가 부여한 안전보위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고, 국무원(國務院), 중앙군사위원회(中央軍事委員會)의 이중지휘감독을 받으며, 내위(內衛), 황금(黃金), 삼림(森林), 수전(水電), 교통(交通)등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무경.. 2007. 12. 21.
인민해방군이 싸운 21개국가의 부대들 글: 도단부대군정관찰실 역사상 중국군대와 교전해본 나라의 군대는 모두 21개이다. 신중국(중공)성립이전에 중국군대는 일찍 일본군, 영국군과 싸운 바 있다. 6.25전쟁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카나다, 필리핀, 터어키, 태국, 남아공, 그리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콜롬비아,.. 2007.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