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중국의 군사

중국 무경(武警) 부대의 유래

by 중은우시 2007. 12. 21.

 

중국인민무장경찰부대 총부는 1983년 4월 5일에 성립되었다. 무장경찰부대는 국가가 부여한 안전보위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고, 국무원(國務院), 중앙군사위원회(中央軍事委員會)의 이중지휘감독을 받으며, 내위(內衛), 황금(黃金), 삼림(森林), 수전(水電), 교통(交通)등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무경부대의 전신은 공안부대(公安部隊)이다. 1982년 6월 19일, 중공중앙은 중국인민해방군에서 내위(內衛), 집근(執勤)임무를 담당하는 부대와 변방, 소방경찰을 통합하여 "중국인민무장경찰부대"를 조직하기로 결정한다. 국가무장역량의 구성부분으로서, 중공중앙,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의 통일지휘감독을 받는다. 1983년 1월 25일, 국무원은 무경부대의 지휘관을 임명하였고, 무경총부는 북경에서 업무를 개시했다. 4월 5일에는 정식으로 성립을 선포한다. 이 당시 무장부대의 영도체제는 "일통이분(一統二分)"이라고 불릴 수 있다. 즉,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가 통일적으로 영도하고, 각지의 공안기관은 급에 따라 나누어 관리, 지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분"이 위주였다. 1985년 1월 1일, 원래 기건공정병(基建工程兵)에 속해 있던 수전(水電, 1966년 8월 성립), 교통(1966년 8월 성립), 황금(1979년 3월 성립)부대를 무경부대로 이관하였고, 무경총부에는 수전, 교통, 황금지휘부를 설립했다.

 

1988년 2월 4일, 흑룡강, 길림, 내몽고의 무장삼림경찰(1948년부터 조직되었는데, 당시는 무장호림대라고 하였다. 1954년에 호림경찰대대로 개편되었다. 1956년 흑룡강성에서 삼림경찰처를 남겨두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성, 구의 호림경찰대대는 취소되어 영림원이 되었다. 1962년 흑룡강성 삼경처는 삼경대대로 개편된다. 1963년 내몽고자치주는 삼경대대를 회복하고, 길림상삼경대대는 지대로 개편된다. 삼경부대전사들은 1978년부터 의무병역제였고, 연대 대대의간부는 1980년 12월부터 현역간부가 관리했다. 1988년 1월 13일부터 삼경부대는 모두 현역제를 시행했다)도 무경부대로 이관되었고, 임업부에 삼림경찰판공실이 설치되었다.

 

1985년 8월, 공안부는 <<변방체제조개선과 조정에 관한 통지>>와 <<소방부대영도관리의 개선과 강화에 관한 몇가지 규정>>이라는 통지를 연속하여 공포하였, 전국의 변방무장경찰과 소방무장경찰을 무경총부에서 빼내서 각급 공안부문의 지휘감독을 받게 하였다.

 

1995년 3월,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는 다시 무경부대의 영도관리체제에 대하여 조정을 실시했다. 원래의 "일통이분"의 체제를 "양통일분(兩統一分)"으로 바꾼 것이다. 즉,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가 통일영도, 통일관리하고 각급공안기관이 급에 따라 나누어 지휘하는 것으로 체제를 바꾼 것이다. 이번 조정으로 중앙군위는 무경부대에 대한 영도권한을 강화하였다. 1996년 12월, 무경부대편제상 인원수가 비교적 많고 지리적인 위치가 특수하고, 임무가 비교적 중요하다는 등의 특징에 근거하여, 중앙군사위원회는 무경부대총부를 부대군구급(副大軍區級)에서 정대군구급(正大軍區級)으로 변경하였고,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전국각성, 자치구, 직할시총대를 부군급(副軍級)으로 승격시켰다. 1999년, 원래의 무경북경제1총대(1993년 부군급으로 승격)과 제2총대는 합병하여 다시 무경북경시총대(正軍級, 산하에 제1, 제2사 및 약간의 직속지대가 있음)

 

추가적으로 무경부대를 강화하기 위하여, 1996년 10월, 중앙군사위원회는 인민해방군의 14개보병사단을 무경부대로 이관시켜, 무경총부 직속으로 만들었으며, 무경부대의 기동부대로 하였다. 1999년초, 원래 무경부대에 편입되어 있고, 국가의 유관부위의 영도를 받고 있던 수전, 황금, 교통, 삼림부대를 명확히 무경총부에 이관시켜 무경총부가 영도하도록 하였다. 1999년 7월에는 무경총부에 삼림지휘부를 설치했다.

 

무경부대는 최근의 조정과 확충을 거쳐 여러 경종(警種)을 가지고, 전국각지에 분포된 상당한 규모를 지닌 무장역량으로 성장했다. 현재 무경부대에는 3개 유형, 8개 경종의 부대가 있다.

 

제1류. 내위부대(內衛部隊). 이는 무경부대의 가장 주요한 구성부분이고, 무경총부가 직접 영도관리한다. 각성, 자치구, 직할시의 무경부대, 기동사단과 총부직속단위가 포함된다. 주요한 임무는 첫째, 고정된 목표의 경비, 도시무장순찰업무이며, 국가의 중요한 목표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고, 둘째, 각종 돌발사건을 처리하고 국가안전과 사회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며, 셋째, 국가경제건설과 재난구조를 집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다. 14개 기동사단은 각각 8610부대, 8620부대, 8630부대, 8640부대, 8650부대, 8660부대, 8670부대, 8680부대, 8690부대, 8710부대, 8720부대, 8730부대, 8740부대, 8750부대이다.

 

제2류. 무경편제에 속하나 국무원의 관련부서와 무경총부의 이중영도를 받는 부대. 이 부대들은 경제건설임무를 담당하면서 동시에 국가안전과 사회안정을 유지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그중 황금부대는 주로 황금지질탐사, 황금생산업무를 담당하고, 무경총부에 황금지휘부를 두며, 황금제1총대등 부대를 관할한다; 수전부대는 주로 국가에너지중요건설프로젝트를 담당하는데, 대중형수리, 수력발전공사 및 기타 건설업무를 담당하고, 무경총부에 수전지휘부를 두며, 산하에 수전제1, 제2, 제3총대등 부대가 있다; 교통부대는 주로 도로, 항구 및 도시건설등 시공업무를 담당하며, 무경총부에 교통지휘부를 둔다, 산하에 교통제1, 제2총대등 부대가 있다; 삼림부대는 주로 동북, 내몽고, 운남의 삼림의 방화, 소화임무 및 삼림지구의 치안을 보호하고 삼림자원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데, 무경총부에 삼림지휘부를 두고 있고, 산하에 내몽고, 요녕, 길림, 흑룡강, 운남삼림총대등 부대가 있다.

 

제3류. 무경부대편제에 속하나 공안부서의 관리를 받는 부대. 이중 변방부대는 변방의 검사, 관리와 일부지구의 변방순찰 및 해상밀수단속을 수행하며 공안부 변방관리국이 관리한다, 북경, 천진, 하북, 산서, 내몽고, 요녕, 길림, 흑룡강, 상해, 강소, 절강, 복건, 산동, 하남, 호북, 광동, 광서, 해남, 사천, 운남, 서장, 감숙, 신강등의 성, 자치구와 직할시에 공안변방총대(공안변방국)이 설치되어있다: 소방부대는 주로 방화 소화업무를 담당하며, 공안부대 소화국이 관리한다. 각 성, 자치구와 직할시에 공안소방부대(공안소방국)이 설치되어 있다; 경위부대는 주로 당과 국가지도자, 성시의 주요지도자 및 중요외빈의 경호업무를 담당하며, 공안부대 경위국이 관리한다. 각 성, 자치구 및 직할시의 공안청(국)에 경위처(警衛處)를 둔다.

 

무경총부에는 사령부(부대군구급), 정치부(부대군구급), 후근부(정군급), 장비부(정군급) 및 각급 전문경종지휘부(정군급)이 있다. 무장부대의 조직, 지휘계층은 일반적으로 총대(師, 正軍級 내지 正師級), 지대(團, 副師級 내지 正團級), 대대(營), 중대(連), 배(排)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