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치/중국의 군사76 인민해방군 고위장군의 대변동 글: 심주(沈舟) 2021년 9월 6일, 신화사는 시진핑이 일련의 상장(上將)을 승진시켰다고 보도했다. 2개 전구(戰區), 2개 군종(軍種)의 사령관과 국방대학 교장을 교체한 것이다. 특히 서부전구사령관은 다시 교체되었는데, 4개월동안 3번이나 교체한 것이다. 중국 군대의 고위장군을 대폭 갈아치운 것은 분명히 11월에 개최될 중공19대 6중전회와 관련이 있을 것이고, 내년의 20대를 준비하기 위한 인사배치를 앞당겨 시행한 것일 것이다. 이번에 상장으로 승진한 장군은 서부전구사령관 왕하이장(汪海江), 중부전구사령관 린샹양(林向陽), 해군사령관 동쥔(董軍), 공군사령관 창딩츄(常丁求), 국방대학교장 쉬쉐창(許學强)이다. 이 6명은 막 취임했다. 전 해군사령관 션진룽(沈金龍)이 곧 은퇴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 2021. 9. 7. 중국군용기의 대만영공진입에서 엿볼 수 있는 전략전술의 혼란 글: 심주(沈舟) 6월 15일, 대륙은 돌연 28대의 전투기를 동원하여 대만영공으로 진입했다. 이는 G7과 NATO회담에서 대만해협을 주목한 것에 대한 정치적 대응일 것이다. 또한 미군의 레이건호항공모함이 남해로 진입한 것에 대한 대응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마, 거기에는 날로 고립되는 곤경에 직면하여, 대륙의 이 조치는 전략적으로 다시 한번 사방으로 출격한 것이나, 확실히 또 한번의 실책이다. 이날 채용한 모의전술도 혼란이 드러난다. 6월 17일, 대륙은 다시 7대의 군용기를 출동시킨다. 여기에 포함된 4대는 곧 퇴역할 J-7이다. 이는 대륙공군전술훈련에 여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철저히 보여준다. 대만해협작전이건 혹은 미군과의 패권다툼이건, 대륙군대는 확실히 무엇을 해야할지 제대로 모르고 있는 것간다.. 2021. 6. 18. 중국이 모방한 소련의 항공모함은 어떤 수준일까? 글: 심주(沈舟) 최근, 중국은 항공모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중국이 현재 보유한 2척의 항공모함중 한척은 전소련에서 미완공되었던 바리야그호 항공모함을 개조하여 만든 랴오닝호이고, 다른 한척은 산둥호로 랴오닝호를 모방하여 만들었다. 중국은 바리야그호의 선체를 구매했을 뿐아니라, 나중에 러시아에서 전체 도면까지 매입했다. 그렇다면, 중국이 모방한 전소련의 항공모함은 도대체 어느 정도 수준일까? 항공모함은 전소련에서 오랫동안 중시되지 못했다. 1910년대, 영국, 프랑스, 일본등 각국은 수상비행기항공모함을 보유하기 시작했다. 그후 영국은 1918년부터 최초의 현대적 의미의 항공모함을 건조하기 시작한다. 일본의 항공모함은 영국기술을 받아 먼저 1922년에 진수된다. 그후 미국도 항공모함을 건조하기 시작한다. .. 2020. 9. 25. 항공모함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글: 심주(沈舟) 1903년 라이트형제가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첫 비행에 성공한 후, 사람들은 하늘을 날으는 꿈을 실현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어떤 사람은 바다 위에서 갈매기처럼 날개를 펴고 날고 싶었다. 그리하여 최초의 항공모함도 탄생하게 된다. 바다에서 비행기를 띄우다. 1910년 11월 14일 Eugene Burton Ely는 미국해군 버밍햄호 순양함의 갑판에서 성공적으로 비행기를 띄운다. 당시 군함은 버지니아주의 노보크해군기지 부근에 정박해 있었다. 1911년 1월 18일, 역시 Eugene Burton Ely는 다시 비행기를 타고 순양함 펜실베니아호에 착륙한다. 당시 군함은 샌프란시스코만에 정박해 있었다. 1912년 5월 9일, 세계최초로 운항중인 영국해군전투함 히버니호의 갑판에서 비행기를.. 2020. 9. 17. 상장낙마기(上將落馬記): 팡펑후이(房峰輝)와 장양(張陽) 글: 유하(幼河) 1951년 4월, 섬서성 셴양(咸陽)의 마궈쉔(馬國選)은 아버지가 되었다. 마궈쉔은 셴양군분구의 군인이었다. 그는 출생지를 이름으로 삼아 아들에게 마셴양(馬咸陽)이라고 이름을 지어준다. 그 해, 마궈쉔은 딱 30살이었다. 군인은 생활이 안정되지 못했다. 셴양군분구에서 시베이군구(西北軍區)로 가고 다시 우한군구(武漢軍區)로 갔다. 마궈쉔의 업무는 계속 바뀐다. 자신을 따라다니며 고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궈쉔은 처에게 아이를 데리고 고향인 샨시(陝西) 슌읍(旬邑) 상관장촌(上官莊村)으로 돌아가서 생활했다. 상관장촌은 전형적인 서북의 농촌이다. 빈곤하고 구석진 곳이다. 마셴양은 여기서 그의 동년생활을 보낸다. 9년후, 후베이 우창으로 간 마궈쉔은 후베이성 문화국장을 지내다가 병사한다. .. 2020. 9. 12. 중국은 미국과의 전쟁을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가? 글: 왕혁(王赫) 미중신냉전은 열전으로 발전할 것인가? 이는 중국의 방향을 판단하고, 국제전략을 결정하는 중대한 문제이고, 핵심문제이다. 본문에서는 이에 대해 두 가지 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첫째, 중국은 쉽게 전쟁을 개시하지 않을 것이고, 미중결전의 시기를 2049년까지 최대한 늦추고 싶어한다. 2020년은 미중신냉전의 원년이다. 형세는 순식간에 변화한다. 중국이 만변(萬變)중 불변(不變)하는 것은 여전히 "양개일백년(兩個一百年)"의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전히 '전략기우기(戰略機遇期)'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략기우기'에는 중국이 함부로 미국과 전쟁을 시작하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현재 미국과 중국의 실력차이는 크다. 중국이 쉽게 전쟁을 개시하지 못하는 중요요소가 바로 그것이다. 당.. 2020. 8. 27.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