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1402

당현종(唐玄宗)의 제왕술: 마외역(馬嵬驛)의 권력게임 글: 서북낭(西北狼)​육군불발무내하(六軍不發無奈何)완전아미마전사(宛轉蛾眉馬前死)군왕엄면구부득(君王掩面救不得)회간혈루상화류(回看血淚相和流)​군대가 움직이지 않으니 어쩔 수 없어미인은 마외역에서 죽어야 했다.군왕은 얼굴을 가렸지만 구해줄 수 없었고되돌아보는데 피와 눈물이 함께 흐른다.​백거이의 덕으로 당현종과 양옥환의 사랑이야기는 천고의 미담으로 지금까지 전해진다. 마외역앞에서의 생사이별은 더더욱 무수한 경요(瓊瑤)팬들을 감동시켰다.​아쉽게도, TV드라마는 영원히 TV드라마이다. 냉혹한 권력의 앞에서, 산맹해서(山盟海誓)는 휴지보다도 견고하지 않다.​대당의 권력게임​당나라 천보14년 즉 755년 12월, 범양, 하동, 평로의 삼진절도사를 겸하고 있던 안록산이 거병하여 반란을 일으킨다. 반군은 파죽지세로 하북.. 2024. 8. 17.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융중대(隆中對)>는 제갈량의 원본일까? 글: 서북낭(西北狼)​제갈량의 는 중국역사상 최초로 역사서에 기록된 전략계획이다. 이 계획서의 도움으로, 일생동안 의지할 곳 없이 떠돌던 유비는 짧은 10년만에 신속히 굴기하여 삼분천하의 패주가 된다. 나중에 관우가 맥성에서 패부하고, 승상은 오장원에서 사망하여, 후인들은 계획이 완성되지 못한 점을 안타까워하게 된다. 후세의 무수한 풍류인물 예를 들어, 소동파, 모택동이 모두 제갈량의 에 대해 평가한 바 있다. 이들은 모두 한 시대의 인물들이다. 우리의 평가는 아마도 그들의 고도를 넘어서기 힘들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여기에서 또 다른 차원에서 를 분석해보고자 한다.​선현들이 를 평가할 때 모두 한 가지 가설을 전제로 했다. 그것은 바로 가 진짜라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그들이 세운 이런 기초를 뒤흔.. 2024. 8. 14.
모택동이 일본침략에 감사하면서 어떤 말을 했을까? 글: 옥미수(玉米穗)​모택동이 일본침략에 감사한 것은 자주 사람들의 비난을 받는다. 당연히 어떤 사람은 그건 그저 반어법에 불과하다고 변호한다. 그렇다면, 위대한 지도자 모택동은 일본침략에 감사할 때 도대체 어떤 내용으로 말했을까? 그것을 을한번 알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같다.​제1차로 모택동이 일본침략에 감사한 것은 1956년이다. 당시 일본군 중장 엔도 사부로(遠藤三郞)가 중국을 방문했고 직접 모택동에게 일본군도(軍刀) 한 자루를 선물하며, 일본군인은 이후로 더 이상 중국을 적으로 삼지 않겠다고 표시하며, 과거의 전쟁에 대한 깊은 반성과 진지한 사과를 보낸다. 모택동은 엔도에게 이렇게 말한다: "당신들은 우리의 선생이고 우리는 당신들에게 감사한다. 너희가 전쟁을 일으킨 것으로 중국인민을 교육시켰고, 모.. 2024. 8. 4.
형주(荊州)전투에서 관우(關羽)에게 치명적 일격을 가한 것은 누구일까? 글: 서북낭(西北狼)​219년에 발생한 양번(襄樊)전투는 삼국역사상 가장 읽기 힘든 대목이다. 관우는 이 해에 사망했고, 전체 삼국의 형세는 달라진다. 동시에 한실부흥의 한가닥 희망도 사라져 버렸다.​이 사건에 관하여,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관우의 '부주의' 혹은 쥐새끼같은 무리의 후안무치때문이라고들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관우가 이 전체 사건에서 무슨 '부주의'한 부분은 없다. 여몽(呂蒙)의 '백의도강(白衣渡江)'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중요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역사의 방향은 여러 방면의 힘겨루기를 통해서 결정되는 것이지, 단순하게 어떤 사건의 성패를 어떤 사람의 책임으로 돌리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다는 것은 생각의 나태이다. ​형주의 힘겨루기​형주사건의 기인(起因)을 따져보자면,.. 2024. 8. 2.
시진핑이 중앙경위국장(中央警衛局長)을 4차례 교체한 내막은? 글: 정효농(程曉農)​해외에서 중국고위층의 정치적미래의 변화에 대하여 얘기할 때, 정변이라는 단어가 출현하는 빈도가 적지 않다. 어떤 사람은 시진핑의 주위에서 정변이 발생할지여부에 대하여 추측하기도 한다. 다만, 왕왕 이런 추측시 왕왕 정변이라는 두 글자 앞에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도대체 중공내에서 어떻게 해야 정변이 발생할 수 있을까는 하나의 수수께끼이다. 본문은 중공정권이 건립된 이래의 정변을 살펴보기로 한다. 중공내부에서 정변이 발생한 것은 실제 사례가 있다. 정변의 성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기실 아주 간단하다. 즉, 누가 '총을 잡고 있느냐'이다. ​시진핑 취임전 저우용캉(周永康)의 정변미수​최근에 일어난 중공고위층의 권력충돌은 2012년 3월 19일이다. 그때 시진핑은 아직 총서기에 .. 2024. 7. 24.
당태종이 즉위후에 살해한 6명의 개국공신 글: 정회역사(情懷歷史)​무덕9년 육월초나흘(626년 7월 2일), 이세민(李世民)은 "현무문지변(玄武門之變)"을 일으켜 태자(太子) 이건성(李建成)과 제왕(齊王) 이원길(李元吉)을 죽이고 황태자에 책봉된다.팔월초아흐레, 당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이 퇴위하고, 이세민이 황제로 등극하며, 연호를 정관(貞觀)으로 고친다. 비록 역사상,이세민은 대기회굉(大氣恢宏)의 군주이지만, 그는 즉위후 6명의 개국공신들을 죽였다. 그들이 누구인지 아는가?​후군집(侯君集)​후군집은 어려서 이세민을 따랐다. 무덕9년(626년), 후군집은 현무문지변에 참가하고, 장손무기(長孫无忌)등 5명과 함께 논공행상에서 1등을 차지한다. 정관4년(630년) 후군집은 병부상서가 된다. 정관9년(635년) 이정(李靖)이 토곡혼(吐谷渾)을 평.. 2024.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