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초기)47

피양구(費揚果): 누르하치 막내아들을 둘러싼 수수께끼... 글: 홍흑난간(紅黑亂侃)​많은 사람들은 도르곤(多爾衮)의 동모제(同母弟) 도도(多鐸)을 얘기할 때 그가 청태조 누르하치의 막내아들(幼子)이며, 어려서부터 남다른 총애를 받았다. 이는 당시 후금에 "막내아들이 집안을 지킨다(幼子守竈)"의 전통때문이며, 그리하여 누르하치에게서 가장 많은 우록(牛錄)과 거의 모든 개인재산을 승계하여 청나라초기 가장 실력이 강력한 기주(旗主)중 하나가 되었다고 하였다. ​사서에서도 청태종 홍타이시(皇太極)과 섭정왕 도르곤이 도도라는 동생을 언급할 때, "유자(幼子)", "계제(季弟)"로 칭했다. 그 뜻은 도도가 그들의 가장 어린 동생이라는 것이다.​그러나, 실제로 도도는 누르하치의 가장 어린 아들이 아니다.​누르하치에게는 모두 16명의 아들이 있고, 도도는 15째이다. 그의 뒤.. 2025. 1. 12.
진영화(陳永華): <녹정기(鹿鼎記)> 진근남(陳近南)의 원형 글: 자귤(紫橘)​김용(金庸)의 에 진근남(陳近南)은 대영웅로 나온다. 어떤 사람은 "평생불식진근남(平生不識陳近南), 종칭영웅야왕연(縱稱英雄也枉然)"(평생 진근남을 모른다면, 영웅이라고 칭하는 것도 헛된 일이다). 진근남이 실존하는 인물인지는 역사의 수수께끼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명말민족영웅 정성공(鄭成功)의 군사(軍師) 진영화(陳永華)야말로 진근남의 원형(原型)이라고 본다.​진근남과 진영화​진근남을 정사사서에서 찾아보면 나오지 않는다.​그러나 어떤 사람은 명나라말기 진영화가 진근남의 원형이라고 말하며, 심지어 어떤 사람은 진근남이 바로 진영화가 사용한 가명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온웅비(溫雄飛)의 에 이런 말이 나온다. 진근남은 정성공의 부장(部將) 진영화의 자칭(自稱)이다. 정성공이 대만.. 2024. 10. 15.
망구지(莽古濟): 청태종의 누나는 왜 청태종에게 능지처참을 당했는가. 글: 열람서영(悅覽書影) 1635년 청태종(淸太宗) 홍타이시(皇太極)은 누나인 망구지를 능지처참한다. 형집행당일, 망구지는 옷이 모두 벗겨진 상태로 사람들 사이로 끌려간다. 현장에 도착한 후, 형집행인은 망구지의 살을 하나하나 베어내었다. 처참한 비명소리가 성경(盛京, 지금의 심양)에 울려퍼졌다. 칼질을 300번 했을 때 망구지는 숨을 거둔다. 능지(凌遲)는 중국역사상 가장 잔혹한 형벌중 하나이다. 형집행인은 수형자의 살을 정해진 수량 베어냈을 때 죽도록 해야 한다. 전체 과정에서, 수형자는 육체와 정신상의 이중고통을 겪는다. 홍타이시는 왜 자신의 누나에게 이렇게 잔인한 형을 집행하도록 했을까? 이 일은 망구지의 동모동생 망구얼타이(莽古爾泰)부터 시작해야 한다. 1 망구얼타이의 생모는 누르하치의 계비인 .. 2023. 5. 2.
아민(阿敏): 후금의 사대패륵(四大貝勒)중 한명 글: 철기여풍(鐵騎如風) 1616년, 누르하치(努爾哈齊)가 허투아라(赫圖阿拉, 지금의 요녕성 신빈)에서 후금을 건립한 후, 다이샨(代善), 망구얼타이(莽古爾泰), 홍타이시(皇太極)과 아민을 사대패륵에 봉한다. 패륵은 여진(女眞)의 제후에게 주는 봉호이고, 일종의 세습 작위이고, 지위는 친왕(親王)과 군왕(郡王)에 바로 다음 간다. 아민은 누르하치의 동생인 슈르하치(舒爾哈齊)의 아들이면서 나머지 3명의 누르하치의 아들들과 함께 4대패륵중 한명으로 봉해질 수 있었던 것을 보면 그의 지위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이로 보면, 그는 홍타이시의 사촌형이고, 또한 홍타이시가 칸(汗)에 오르는 것을 극력 옹호했다. 그렇다면 왜 그는 홍타이시가 칸에 오른 후, 아민은 서서히 숙청당하게 되었을까? 158.. 2023. 1. 17.
추잉(褚英): 누르하치 장남의 수수께끼 글: 지식거륜(知識巨輪) 아르하투투먼패륵(阿爾哈圖圖門貝勒)은 누르하치의 장남 추잉(褚英)이다. 추잉은 누르하치의 첫번째 대푸진(大福金, 푸진은 만주어로 부인이라는 뜻임)인 퉁자씨(佟佳氏) 소생으로, 만력8년(1580년)에 태어났다. 이때 그의 부친 누르하치의 나이는 22살이었다. 추잉은 용맹하고 지모가 뛰어나서, 전투에 능했고, 전공을 여러번 세운다. 만력26년(1598년) 정월, 누르하치는 막내동생 바야라(巴雅喇), 추잉과 가가이(噶蓋), 페이잉동(費英東)에게 1천의 병사를 이끌고, 동해여진(東海女眞) 안추라쿠루(安楚拉庫路)를 정벌하게 한다. 추잉의 공적 이때 추잉의 나이는 겨우 17살이었다. 그러나 그는 힘든 일을 두려워하지 않고, "밤을 세워 달려가서" "둔채(屯寨) 20곳"을 취했다. 그러자, 나.. 2022. 10. 5.
효장황태후(孝莊皇太后): 사후 37년간 정식으로 매장되지 못한 이유는...? 글: 박서(博書) 효장황태후는 1613년에 태어났다. 그녀의 친정은 콩골 커얼친(科爾沁)부이며, 본명은 붐부타이(布木布泰)이다. "효장"은 그녀가 죽은 후에 받은 시호(諡號)이다. 13살때, 붐부타이는 후금(後金)이 사대패륵(四大貝勒)중 한명인 홍타이지(皇太極)에게 시집가서, 후금 "대영명칸(大英明汗)"이 되는 누르하치(努爾哈赤)의 며느리가 된다. 2년후, 누르하치가 병사하고, 홍타이지가 즉위한다. 23살의 붐부타이는 "장비(莊妃)"에 봉해진다. 32살때, 아들 푸린(福臨)이 즉위하니, 그녀는 순치제(順治帝)때 황태후(皇太后)가 된다. 49살때, 손자 현엽(玄燁)이 즉위하니 그녀는 다시 강희제(康熙帝)때 태황태후(太皇太后)가 된다. 효장은 75살까지 살았다. 그녀가 13살에 입궁한 때부터 계산하면, 누르.. 2022.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