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송)98

포청천(包靑天)은 고액연봉자였다? 글: 이개주(李開周) 포증(包拯, 일반적으로 包靑天으로 알려져 있음)은 일생동안 여러가지 업무를 했다. 처음에는 천장지현(天長知縣)을 하다가 나중에 단주지주(端州知州)를 지냈으며, 다시 나중에 호부판관(戶部判官)을 지냈고, 다시 경동전운사(京東轉運使)를 한 다음에, 다시 섬서전운사(陝西轉運.. 2009. 4. 8.
거란황후 소관음(蕭觀音)은 어떻게 죽었는가? 글: 주상유(朱湘渝) 예전에 평서(評書)를 듣거나, 무협(武俠)을 읽었으면, 모두 소(蕭)씨집안이 요나라에서 얼마나 대단한 지위를 누렸는지 알 것이다. 거란인들이 요나라를 세운 이후, 요나라의 황제는 야율(耶律)씨집안에서 나왔다. 그러나, 황후는 모두 소씨집안에서 나왔다. 소동파가 4살되던 해에 .. 2009. 1. 7.
역사상 진실한 송강(宋江)의 난 글: 새풍(塞風) 북송 선화원년(1119년)에서 3년(1121년)까지 송강은 무리를 모아 양산박(梁山泊, 梁山濼이라고도 함, 지금의 산동성 양산, 운성의 중간)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관청에 반항하고, 관군의 진압작전에 항거한다. 북송말기에 조정은 부패하고, 대외적으로 돈을 주면서 평화를 구걸하면서, 대내.. 2008. 12. 29.
자치통감은 왜 주위열왕(周威烈王) 23년부터 시작하는가? 글: 유계흥(劉繼興) 처음으로 <<자치톰감(資治通鑒)>>을 읽은 것은 1990년대초였다. 당시에 필자는 대학에 다니고 있었다. 모두 294권 300만자에 달하는 거작을 나는 축인본으로 읽었는데도 4권이나 되었다. 다 읽은 후에 나는 곤혹스러웠다. <<자치통감>>과 함께 "사학의 쌍벽"으로 불리우.. 2008. 12. 25.
동진국(東眞國): 잊혀진 여진족 국가 글: 원동순양함 중국의 역사서를 뒤져보면 동하(東夏)라는 여진정권의 존재를 언급하는 경우는 드물다. 국가실체를 가지고, 금나라가 멸망할 때, 여진의 부흥을 꾀하기 위하여, 독립하여 70여년간이나 존재했으며, 길림, 흑룡강의 대부분 지역을 통할하고, 요동지역에서 패자로 군림했었다. 국호는 처.. 2008. 12. 23.
천년간 잠든 서하(西夏) 문화를 누가 깨웠는가? 서하왕릉(동방의 피라미드) 글: 신공무기(申公无忌) 하란산(賀蘭山)의 아래, 천년간 잠들어있는 왕릉의 폐허가 있다. 그것은 바로 "잃어버린 왕조" 서하국(西夏國)의 왕릉이다. 제3호릉은 바로 서하의 개국황제인 이원호(李元昊)의 능이다. 송, 요, 금나라와 병존하며, 189년이나 존속했던 왕조는 돌연 역.. 2008. 7. 24.
양가장(楊家將)의 진실한 역사 작자: 미상 [참고: <<양가장>>은 송나라때를 배경으로 한 유명한 이야기로 경극, 소설, 드라마, 영화등으로 많이 만들어졌다] 양업(楊業)의 본명은 양중귀(楊重貴)이다. 부친인 양신(楊信)은 인주(麟州)의 토호였다. 오대(五代)의 혼란기를 틈타, 인주를 점거하고, 스스로 자사(刺史)라 칭했다. 시.. 2008. 6. 26.
송태조계와 송태종계: 송나라 황위계승 송나라의 개국군주는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이다. 그는 모친 두씨의 분부를 받들어, 황제위를 동생인 송태종 조광의(趙光義)에게 전한다. 이는 역사상 "금궤지맹(金櫃之盟)"으로 불리는 사건으로 송태조가 두태후의 유명을 받들어, 주세종이 어린 아들에게 나라를 물려주어 망국에 이른 전철을 밟지 .. 2008. 6. 24.
북송(北宋)의 비참한 최후 북송말기에 금(金)나라 군대의 제2차 남하때, 수도인 변경성을 포위했다. 목숨을 구차하게 연명하기 위하여, 송휘종, 송흠종은 "만명이 넘는 궁중, 종실과 경성의 부녀들"을 인질로 보냈다. 게다가 1인당 가격까지 명확하게 설정했다. 금나라의 군영에서 그녀들은 온갖 유린을 당하게 된다. 북송정권의 .. 2008. 1. 2.
문천상(文天祥)은 일찌기 플레이보이였다. 글: 정계진(丁啓陣) "문천상"이라는 세 글자를 말하면, 대부분의 중국인들의 머리속에는 개략 이렇게 정의될 것이다: 남송말년에 원나라에 항거한 민족영웅. 조금만 고서적을 읽어본 사람들이라면 그가 지었다는 몇 가지 싯구도 기억할 것이다. 신심일편자침석(臣心一片磁針石) 부지남방불긍휴(不指.. 2007.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