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공통)136 중국고대의 4대풍류 글: Tea.T "풍류(風流)"라는 두 글자는 개략 현재의 말로 하자면 "낭만(浪漫)"일 것이며, 사람들이 모두 바라는 것이다. 고대에도 풍류는 있었으므로 풍류천고라는 말도 있다. 이로써 볼 때, 고인들은 풍류에 대하여 상당히 좋게 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인들은 "한수투향(韓壽偸香)", "상.. 2008. 10. 17. 황제와 유모 글: 목재(木梓) 역사를 되돌아보면, 당당한 명분이나 이익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때문에 진실을 보는 눈이 가리워져서는 안된다. 인정세고(人情世故)같은 요소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류사회의 진보는 아마도 장기적으로 보면 필연적인 규율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보면, 그.. 2008. 10. 16. 대진국(大秦國)이 로마제국인가? 글: 김우비(金宇飛) 발췌 중국의 고대문헌을 보면, "대진국(大秦國)"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통상적으로는 대진국을 로마제국으로 이해하는데, 그것에 대하여는 의문이 있다. 서역의 대진국에 대한 기록은 <<후한서>>에서 처음 나타나고, 이후 <<진서>>, <<위서>>, <<북사>&g.. 2008. 7. 16. 중국고대의 다이어트 붐 글: 아령(阿零). <<청년문적>> 2008년 제7기 요즘은 누구나 다이어트를 하는 시대이다. 요가, 기공, 점혈안마, 침구....온갖 방식이 다 동원되고, 심지어 뼈밖에 남지 않은 모델이 다이어트한다고 굶어죽기도 한다. 이는 2500여년전에 초(楚)나라에서 발생한 다이어트붐과 아주 유사하여, 탄식을 하.. 2008. 7. 14. 명청(明淸)의 신하들은 어떻게 황제를 욕하였는가? 글: 군랑합작(群狼合作) 중국역사상 황제는 신권(神權), 황권(皇權), 족권(族權)을 한 몸에 가지고 있었고, 군주에 대하여 충성을 하는 것(忠君)은 최고의 정치원칙이자 도덕기준이었다. 공공장소에서 황제에 대하여 대불경(大不敬)을 저지르는 것은 사죄(死罪) 즉, 죽음을 당할 큰 죄였다. .. 2008. 7. 4. 중국역사상 재상(宰相)의 변천 작자: 미상 재상은 중국고대에 최고행정장관을 지칭하는 통칭이다. "재(宰)"는 주재(主宰)한다는 의미이다. 상(商)나라때 집안과 노예를 관리하는 관료였다; 주(周)나라때 국정을 장악한 태재(太宰)가 있었고, 귀족의 집안 일을 장악한 가재(家宰)도 있었으며, 한 읍의 사무를 관장하는 읍재(邑宰)도 있.. 2008. 6. 2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