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공통)136 칫솔질이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역사 글: 향우전(向右轉) 고대 인도의 승려가 집단으로 외출을 나갈 때면, 몸에 항상 18가지 물건을 가지고 다녔다. 18가지는 도대체 어떤 것들인가? 그것은 바로 치목(齒木), 조두(澡豆), 삼의(三衣), 삼의(三衣), 발(鉢, 바리때), 병(甁), 좌구(坐具), 석장(錫杖), 향로(香爐), 여수낭(濾水囊), 모건(毛巾, 수건), 소.. 2009. 4. 1. 삼희당(三希堂) 서첩(書帖)의 행방 글: 가운봉(賈雲峰) 삼희당(三希堂)은 북경 고궁의 양심전내에 있다. 6평방미터에도 미치지 못하는 이 서난방(西暖房)이 한때 풍류황제 건륭제의 "예술보고(藝術寶庫)"였다. 건륭제는 역대 서예, 회화 대가의 진품들을 이곳에 수장하였다. 그중에도 왕희지(王羲之)의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2009. 3. 27. 한혈보마(汗血寶馬)에 관하여 투르크메니스탄 국휘(國徽)의 한혈보마 투르크메니스탄 지폐의 한혈보마 글: 장계합(張繼合) 냉병기(冷兵器)시대에 사람들이 가장 갖기를 갈망하던 것은 쇠를 무우처럼 자르는 검, 갑옷을 꿰뚫는 창, 그리고, 황금안장과 구슬장식을 단 좋은 말이다. 고대인들이 검을 사랑하는 것은 현대인들이 총을 .. 2009. 3. 11. 중국 역대 국가(國歌)의 변천(II) 3. 국민당정부시기의 국가 1927년 국민당의 장개석이 혁명에 성공한 후, 남경에 국민정부를 건립한다. 남경국민정부의 국가는 국민당의 당가(黨歌)로 대체된다. 일찌기 1924년 1월에 개최된 국민당 제1차전국대표대회에서, 대표의 제의에 따라 국민당 당가를 제정한다. 이리하여 국민당의 정책을 선전하.. 2008. 12. 15. 중국 역대 국가(國歌)의 변천 (I) 글: 오설청(吳雪晴) 1. 청나라 말기의 국가(國歌) 1880년, 청나라의 주영대사인 증국번의 장남 증기택(曾紀澤)은 사신으로 나가있는 기간동안, 서방국가는 공공행사때 국가를 연주하는 것을 보고 크게 감동을 받고 부러워했다. 그는 중국도 자신의 국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조정에 상소를 올려, .. 2008. 12. 15. 중국에서 연회(宴會)를 금지한 세번의 장례식 글: 진전요(秦全耀) 국가지도자가 서거하면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주 오락활동을 정지시키는 경우가 있다. 오락활동이란 무엇인가? 거기에는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국(유선TV, 디지탈TV, 모바일TV, IP TV, 핸드폰TV등 포함)의 모든 주파수, 채널에서 모든 문예오락프로그램과 활동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한.. 2008. 10. 23.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