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공통)136

구족(九族)은 무엇인가? 역사책을 보면 구족을 멸한다는 얘기가 많이 나온다. 더구나, 명나라 영락제때에는 방효유가 끝까지 연왕이 정권을 장악한 후에도 "연적찬위"라는 글을 쓰는등 영락제를 인정하지 않아 영락제가 화가난 끝에 문인들도 십족이라고 하여 십족을 멸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구족은 무.. 2006. 5. 16.
근현대 중국 국기의 변천 1. 1873-1890년의 대청제국 국기 2. 1890-1912 대청제국 국기 3. 1911. 10. 무창의거때 사용했던 깃발 4. 1912 - 1915 10.22. 중화민국 오색국기 5. 1915. 10. 22 - 1916. 3. 22. 중화제국 (원세개) 국기 6. 1931. 9. 18 - 1932. 3. 9. 만주국의 국기 1932-1934년 만주국의 국기 7. 1939-1940 위민국(왕정위) 정부기 1940-1945년 위민국(왕정위) 정.. 2006. 5. 7.
중국역대왕조의 휴가제도 한(漢)나라때는 5일에 하루씩 쉬었다. 이러한 제도를 휴목(休沐)이라고 하였는데, 5일간 일하면 몸에 흙먼지도 많이 묻고 하니, 하루는 쉬면서 목욕을 하라는 취지였을 것이다. 서한때에 장부(張扶)라는 관리가 있었는데, 그는 일중독자였다. 휴목때에도 쉬지를 않고 평상시처럼 출근해서 일을 했다. 그.. 2006. 5. 4.
중국역사상의 두 명의 처녀황후 장언(張嫣) 한나라 혜제(惠帝) 유영(劉盈)의 황후. 유영이 20세 되는 때, 여후(여치)는 장언을 유영에게 시집보낸다. 장언은 유영에게는 외조카가 되었다. 그 때 장언은 겨우 10살정도였다. 얼마되지 않아. 혜제가 미앙궁에서 죽었고, 그 때 나이 겨우 23살이었다. 황후는 겨우 14살이었다. 여씨들이 .. 2006. 5. 3.
중국(中國)이라는 말의 유래 중국이라는 말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은 주(周)나라 때이다. 중국이라는 말이 가장 먼저 외교문서에 쓰인 것은 1842년의 <<남경조약>>이다. 중국이 정식으로 국호로 사용된 것은 중화민국이며, 중국으로 약칭했다. 중화의 국가라는 의미였다. 현재의 중국은 바로 중화인민공화국이다. 중국이.. 2006. 4. 10.
마작의 유래에 대한 세가지의 학설 첫째, 마작의 원래의 이름은 "말장(抹將)"이다. 말(抹)은 수호지에 나오는 108명의 양산박호한을 가리킨다. 원나라말 명나라초에 만병조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시내암이 쓴 수호지의 양산호한을 매우 존경했고, 수호지의 이야기를 고관대작들도 알아서,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게 되라는 뜻에서 마작을 .. 2006.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