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664

중국의 전세기보(傳世奇寶) 1. 마노도형소수승(瑪瑙桃形小水丞) : 청(淸)나라때 작품. 청나라궁중소장품. 수승은 먹갈때 쓰는 물을 담아 두는 것임. 2. 청옥엽식필첨(靑玉葉式筆掭): 청나라때 작품. 청나라 궁중소랑품 3. 청백옥삼양개태필가(靑白玉三陽開泰筆架) : 청나라 작품. 청나라 궁중소장. 양(陽)와 양(羊)이 발음이 .. 2006. 12. 1.
백련교(白蓮敎) : 중국역사상 가장 복잡하고, 신비한 종교집단 백련교는 당, 송이래로 민간에 전해내려온 일종의 비밀종교결사(秘密宗敎結社)이다. 연원은 불교의 정토종(淨土宗)이다. 전해지는 바로는 정토종의 시조인 동진(東晋)의 석혜원(釋慧遠)이 노산림사에서 유유민(劉遺民)등과 백련사(白蓮社)를 만들어 같이 염불한데서 기원하며, 후인들이 그들을 모범.. 2006. 11. 28.
청나라 황실에서 사용하던 필통 1. 명나라말기제품. 주삼송(朱三松) 제작. 죽조춘채도필톨, 높이13.7센티미터, 상부직경10.8센티미터, 하부직경 10.5센티미터. 청나라궁중소장품 2. 명나라말기제품. 주삼송 작품. 죽조사녀필통, 높이 14.6센티미터, 상부직경 7.8센티미터, 하부직경 7.7센티미터, 청나라궁중소장품 3, 명나라말기제품. 경목루.. 2006. 11. 18.
중국에서 승려들이 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 소식(素食, 채식)의 풍습은 옛날부터 있었다. 불교가 중국에 들어오기 전에도 아주 유행했다. 옛날에 채식을 하는 것은 당시의 경제가 낙후해서 고기를 먹을 상황이 되지 않아, 그저 야채로 주린 배를 채워야 했던 것은 아니다. 당시에 이미 “양(養), 조(助), 익(益), 충(充)”의 음식개념을 가지고 있었.. 2006. 11. 13.
여산(廬山)의 천년불등(千年佛燈) [여산 천년불등] 세계적인 기상학자인 축가정(竺可楨)이 여산의 3대 수수께끼중의 하나로 꼽은 "불등"은 수천년동안 여러가지 추측을 하게 만들었다. 최근들어 과학연구에서 약간의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불등의 이유에 대하여는 납득할만한 설명을 얻지 못하고 있다. 아미산(峨嵋山), 청.. 2006. 10. 27.
고사성어의 영어번역 일거양득 :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일촌광음불가경 : Time is money 구사일생 : to have a hair-breadth escape 일생여몽 : life is but a dream 인생자구수무사 : Death comes to all men 대기만성 : Rome was not built in a day 인자무적 : The benevolent have no enemy 망양부뢰(소잃고 외양간고치기) : Better late than never / It's never too late to mend .. 2006.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