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문학/무협소설66 아미파(峨嵋派) 무술은 어디에서 왔는가? 글: 오신량(吳信良) 아미산은 신선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의 영향을 수천년간 받아온 역사를 지니고 있다. 객관적으로 아미산은 신선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가 융합된 이론적 기초를 가지고 있다. 이리하여 소림의 선불(禪佛)무술, 무당의 도가무술과는 선명하게 대비되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촉.. 2009. 12. 6. 양우생(梁羽生): 신파무협소설의 개산비조(開山鼻祖) 글: 유계흥(劉繼興) 구정 전날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불행한 소식이 들려왔다: 무협소설의 대가인 양우생이 1월 22일 병으로 시드니에서 향년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 35권의 소설책을 세상에 내놓고, 작품의 자수가 천만자가 넘는 신파무협소설의 개산비조의 죽음은 바로 여론의 촛점이 .. 2009. 2. 1. 무협소설의 발전사 글: 장수강(張守剛) 사마천이 <<사기>>에 유협(遊俠)에 관하여 글을 남긴 후, 지금까지 각 무협파벌이 속속 출현했다. 무협소설의 발전사를 되돌아보면, 매 시기마다 그 대표적인 특징이 있고, 매 지역마다 서로 다른 특징이 있다. 유협(遊俠) vs. 호협(豪俠) 사마천은 <<사기. 유협열전>>.. 2009. 1. 23. 김용(金庸)은 우리에게 어떤 꿈을 만들어 주었나? 글: 오사(吳思) 왕자가 신데렐라를 사랑하게 되고,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로 바뀐다는 이런 유형의 동화가 유행하고 열기가 식지 않는 이유는 바로 신데렐라와 미운 오리 새끼들이 읽기를 좋아하고, 재미를 느끼기 때문이다. 그녀들에게는 이런 백일몽이 필요하다. 이런 수요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 2009. 1. 22. 김용 무협소설의 7가지 애정모델 글: 냉성금(冷成金) 비설연천사백록(飛雪連天射白鹿) 소서신협의벽원(笑書神俠倚碧鴛)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이 대련(對聯)을 보고 책과 검을 들고 세상을 유랑하는 한 협객이 자신의 협골유정(俠骨柔情)을 읊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상당한 부분은 욱달부의 "증인주취편명마,.. 2008. 7. 8. 무협소설/영화의 50가지 통속적 수법 작자: 미상 1. 열래객잔(悅來客棧)은 고대 중국의 최대의 체인객잔이었다. 2. 극독, 해약, 암기는 모두 서역(西域)에서 나온다. 3. 아침 저녁으로 만나다가도, 야행의(夜行衣)를 입고, 얼굴에 면사만 쓰면 상대방이 전혀 못알아본다. 4. 하잘것없는 인물인 경우에는 그가 쓰는 무공의 이름이 아주 문학적이.. 2008. 6. 17.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