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dp50

중국의 미친듯한 토지자금수탈모델은 언제 종결될 것인가? 글: 채신곤(蔡愼坤) 중원지산연구센터가 최근에 발표한 자료를 보면, 현재까지 전국50대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이미 1.77조위안을 초과했다. 그 중 90%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100억위안을 넘겼고, 쑤저우, 난징, 상하이, 항저우의 토지매각수입은 더더욱 1000억위안을 넘었다. 과열도시에서.. 2016. 10. 12.
중국주식시장의 실질과 인위적 호황 글: 천인(川人) 중국주식시장은 무수한 중국인들의 애증이 교차하는 시장이다. 그것은 부가 폭증하는 기적도 만들어 냈고, 거액손실의 참상도 만들어 냈다. 2015년 12월말 중국증권등기결산유한책임공사의 최신데이타를 보면, 중국자연인의 A주 투자자수(구좌개설자수가 아님)는 9,891.17만.. 2016. 1. 5.
"궁정지하(穹頂之下)"의 정경유착 글: 섭휘화(聶輝華) 2015년 3월, TV아나운서 차이징(柴靜)이 발표한 다큐멘터리 <궁정지하>는 중국민중의 환경보호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 환경보호다큐멘터리에서, 비록 차이징의 팀과 환경보호부는 탕산(唐山)에서 한 철강기업이 대량의 석탄오염물질을 배출하는 .. 2015. 12. 3.
중국경제의 곤경은 지준율인하, 금리인하로 해결될 수 없다. 글: 김언(金言) 중국공산당 제18기 5중전회가 개최되기 이틀 전에, 중국인민은행은 다시 "쌍강(雙降, 지준율인하 및 금리인하)"조치를 내놓는다. 이는 작년11월이래 연속6번째 지준율 및 금리인하조치이다. 직전에 공표된 통계데이타에 따르면, 3분기 중국 GDP는 이미 6.9%로 하락했고, 2009년 1.. 2015. 11. 1.
중국의 총부채는 왜 이렇게 많은가? 글: 채신곤(蔡愼坤) 매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총채무수준(금융업채무 포함)은 2007년의 7.4조달러에서 현재는 28.2조달러로 증가했으며 현재수준은 GDP의 282%에 해당한다. 이 비율은 미국보다도 훨씬 높다. BBC의 2월 5일자 보도에 따르면, 권위있는 컨설팅업체인 매킨지 글로벌 인스.. 2015. 2. 11.
중일관계를 분석한다. 글: 항소개(項小凱) 중소국경분쟁이 끝난 3년후인 1972년 일본수상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는 중국을 방문한다. 지연정치(地緣政治)는 중일관계를 좌우하는 주요요인이었다. APEC 2014년 정상회담은 11월에 베이징에서 개최된다. 그때 중국지도자 시진핑이 아마도 일본수상 아베신조(安倍.. 2014.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