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유용17

주원장의 모사 유기(劉基)는 왜 관작을 사양하고 은퇴했을까? 글: 노후(老猴) 모사(謀士)는 자기의 지혜로 제왕을 위하여 계책을 내고, 공을 세우는 자이다. 주공의 곁에 머무는 무명영웅이다. 그들의 현저한 특징은 봉헌(奉獻), 공을 내세우지 않고, 관직에 연연하지 않으며,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일을 처리한다. 주나라때로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 2018. 4. 7.
주원장(朱元璋)은 왜 유기(劉基)를 죽였을까? 글: 기점문사(起點文史) 유기(劉基, 劉伯溫)은 절동(浙東, 절강성동부) 청전(靑田)의 명문거족이다. 원나라 지순연간에 진사가 되고, 일찌기 고안승(高安丞), 강절유학부제거(江浙儒學副提擧)등의 관직을 지냈다. 방국진(方國珍)이 거병한 후, 행성은 유기를 원수부도사(元帥府都事)로 추.. 2018. 1. 10.
중국고대 승상(丞相) 전체명단 글: 추월랑(秋月朗) 중국고대에 춘추시대부터 승상을 두기 시작하여 명태조 주원장이 홍무13년 승상을 폐지할 때까지, 1600년간 모두 300여명의 승상이 나타난다. 춘추전국(17명) 관중(管仲) 소진(蘇秦), 장의(張儀), 범저(范睢), 안영(晏嬰), 범려(范蠡), 이회(李悝), 위서(魏舒), .. 2016. 1. 31.
탕화(湯和)는 어떻게 선종(善終)할 수 있었는가? 글: 진령신(陳令臣) 임금을 곁에서 모시는 것은 호랑이를 곁에서 모시는 것과 같다(伴君如伴虎). 이 말은 확실히 진실이다. 역사상 얼마나 많은 공신, 대장군등이 잘 시작했지만, 잘 끝나지는 못하여, 황제에게 죽임을 당하였던가? 당연히 역사상 이렇게 공신을 많이 죽인 황제는 그 수를 .. 2016. 1. 5.
호유용은 일본과 결탁하여 모반하려 했는가? 글: 정만군(程萬軍) 대명의 개국황제 주원장에 의하여 <간신록>에 들어가게 된 호유용은 주원장이 제거한 중국의 마지막 승상이다. 호유용은 주원장이 전우를 도살하는데, '한마공로(汗馬功勞)'를 세운다. 그러나, 결국 그도 '토사구팽'의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다. 권력야수 주원장은 .. 2013. 11. 23.
중국역사상 문인과 무장의 숙명 글: 운중군(雲中君) 도연명은 행택현령의 자리에서 자리를 박차고 떠났다. 그리고 채국귀은(採菊歸隱)의 길을 선택한다; 시선 이백은 재주가 넘쳤고, 원대한 포부가 있었으며, 인구에 회자되는 많은 시가를 남긴다. 관료로서는 뜻을 펼치지 못했고, 최종적으로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 2013.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