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자당16 보시라이가 혐의를 부인하는 4가지 이유 글: 장천량(章天亮) 8월 22일 보시라이의 제1차 심문은 많은 사람들이 깜짝 놀랄 결과를 드러냈다. 보시라이는 법정에서 모든 혐의를 부인했고, "황당하고 가소롭다"와 "미친 개"라는 등의 표현으로 증인과 증언을 형용했다. 만일 이 일이 시진핑에게 의외였다고 한다면, 그것은 시진핑이 .. 2013. 8. 24. 보시라이와 저우용캉: 누가 더 약세인가? 글: 장천량(章天亮) 저우용캉과 보시라이를 비교하면 누가 더 약세일까? 제목만 보면 답안은 말을 하지 않아도 나올 듯하다. 저우용캉은 관직이 정치국 상임위원에 이르러, 중공권력피라미드의 꼭대기까지 올라간 사람이다. 그는 1년에 안정유지(維穩)를 명목으로 1년에 7000억위안을 끌어.. 2013. 8. 15. 예쉔닝과 위정성: 태자당 대표인물의 관계 글: 김정(金睛)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임위원중 가장 연장자이면서 68세의 데드라인에 근접한 위정성(兪正聲)이 상임위원에 들어간 이유에 대하여는 외부에서 주목하는 부분이다. 태자당인 위정성은 외부에서 알려진 것처럼 덩(鄧)가의 가신인 것 이외에, 그들 가족은 중국공산당 정계의 .. 2012. 11. 25. 보시라이의 정치모토: 공동부유(共同富裕) vs 살부제빈(殺富濟貧) 글: 낙아(駱亞) 2012년 3월 9일 충칭대표단의 개방일에 충칭시위서기인 보시라이는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공동부유'가 충칭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후진타오에 이르는 역대 중국의 지도자들 및 중국공산당의 두 조사인 마르크스, 엥겔스까지 끌어들여서 그 근.. 2012. 3. 10. 보과과(薄瓜瓜): 보시라이의 아들 글: 이명(李明) 국제매체들이 연일 중국의 내부투쟁과 보시라이에 대하여 보도하면서, 보시라이의 아들인 보과과도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문혁(文革, 문화대혁명)기간동안, 보이보는 반도로 낙인찍혀 감옥에 갇힌다. 보시라이는 이로 인하여 앞날이 막막해진다. 그리하여 그는 용모가 .. 2012. 2. 27. 왕리쥔사건으로 본 태자당, 단파 및 기술파의 관계 글: 호소강(胡少江) 왕리쥔사건의 진상이 일반인에게 알려지면서 사람들이 사건을 해석하는 버전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왕리쥔사건은 정치평론꾼등에게 상상력을 발휘할 절호의 기회를 부여했을 뿐아니라, 중국현재의 정치생태, 특히 중국정치 엘리트층의 구조와 상호관계를 .. 2012. 2.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