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상황21 명나라조정에 동시에 두 명의 합법적인 황제가 존재하다 글: 동리채국(東籬採菊) 하늘에 두 태양이 있을 수 없고(天不能有二日) 나라에는 두 임금이 있을 수 없다(國不能有二主) 하나의 국가에 동시에 두 합법적인 황제가 존재한다면, 혼란스럽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설사 작은 가정이라고 하더라도 두 사람이 서로 가장이 되려고 싸우면, 이 .. 2013. 12. 24. 태상황(太上皇)과 태상황제(太上皇帝) 글: 유병광(劉秉光) "태상황"과 "태상황제"는 사료에서 자주 등장하는 두 단어이다. 글자 1자의 차이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주 혼동하여 쓰고 심지어 통용해서 쓰기도 한다. 사실상, "태상황"과 "태상황제"는 서로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태상황"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 2013. 11. 23. 이봉낭(李鳳娘): 조손3대황제들도 어쩔 수 없었던 여인 글: 수중한분비(水中寒紛飛) 송왕조의 문약함은 역사상 유명하다. 특히 남송은. 기실, 문약하냐 아니냐는 황제를 보면 된다. 군국대사는 제쳐놓고 후궁만 보더라도, 3대황제가 여인 하나를 어찌하지 못하고 오히려 황제 자신이 정신병에 걸릴 정도니, 이런 황제가 중원을 회복하기를 기대.. 2013. 5. 18. 수(隨): 수문제 양견이 가장 꺼린 글자. 글: 하당월색(荷塘月色) 사람들은 항상 말한다. 믿으면 있고, 믿지 않으면 없다. 어떤 사람은 신을 믿고, 어떤 사람은 귀신을 믿고, 어떤 사람은 또 다른 것을 믿는다...기괴한 것은, 수문제 양견은 옛 한자의 뜻을 미신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수(隨)"자의 뜻을 가장 꺼려했다. 이것은 또 어.. 2013. 4. 13.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송,명,청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중국역사상 당왕조의 태상황과 수량이 같은 것은 송왕조이다. 그러나 당나라의 태상황은 대부분 부득이한 상황하에서 나타난 것과는 달리, 송나라의 태상황은 기본적으로, "강적이 국경으로 압박해 들어오자 황위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린 경우와 정무에 염증.. 2012. 3. 14.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당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당나라는 중국인들이 가장 그리워하는 왕조이며, 중국역사상 태상황을 가장 많이 배출한 왕조이기도 하다. 양견이 북주의 고아과부로부터 북주정권을 탈취한 후, 개황원년(581년) 정식으로 수왕조를 건립한 때로부터 당공 이연이 양유(楊侑)를 괴뢰황제로 옹립한 .. 2012. 3.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