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평36

진평(陳平)의 "태도"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진평의 "태도"는 큰 일을 하는 사람이 마땅히 가져야할 태도이다. 진평이 유방에 투신한 후, 금방 유방의 인정을 받고 중용된다. 유방의 수하중 "오래된 사람들" 경력이 비교적 많은 주발과 관영같은 사람들은 그를 못마땅해 하고, 마음 속으로 질투를 한다. 그리하.. 2015. 2. 24.
양영태(楊永泰): 장개석의 제일모사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일종의 지식엘리트들은 "문객(門客)", "군사(軍師)", "막료(幕僚)"등의 신분으로 자신의 '주인', '주공'을 위하여 계책을 내고, 근심거리와 어려움을 해결해주는데, 이들을 "모사(謀士)"라고 불렀다. 고대의 저명한 모사로는 범증, 진평, 곽가, 가후(賈詡)등이 있.. 2015. 2. 20.
항우가 죽은 후 항우의 부장(部將)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유방이 항우를 물리친 후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어서 그는 즉시 공신들에게 작위를 내리고 상을 내리지 않고 그가 생각하기에 더욱 중요한 한 가지 일을 처리한다. 그것은 항우의 부하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는 원래 그를 옹호했던 몇몇 제후를 다시 한번 확.. 2014. 12. 12.
여후(呂后)는 심이기(審食其)와 사통했는가? 글: 복녕객(福寧客) 벽양후(辟陽侯) 심이기는 유방과 같은 고향사람이고, 얼굴과 눈이 청수하고, 말재주가 뛰어났다. 유방이 거병한 후, 집안을 돌볼 사람이 아무도 없자, 심이기를 '사인(舍人)'으로 삼아 집안일을 대신 처리하게 하였다. 여후는 심이기와 밤낮으로 모여서 얘기하여, .. 2014. 10. 2.
유방의 부하는 어떤 사람들인가? 글: 이치아(李治亞) 유방은 한고조이다. 참백사기의(斬白蛇起義)부터 삼년만에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오년만에 초나라를 멸망시키면서 마침내 천하를 가진다. 포의천자이므로, 유방의 건국에는 개국공신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유방의 수하인 개국공신은 모두 어떤 사람들일까/ 첫째, 반.. 2014. 5. 30.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사전환 글: 왕립군(王立群) [<여후>수정판서문] <여후>의 재판을 곧 낸다. 신판 <여후>에는 문자를 좀 늘였다. 대체로는 2가지 유형이다. 하나는 원서의 내용을 보충한 것이고, 둘은 고적 원문을 증가시킨 것이다. 현재, 대중역사 읽을거리가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사적원문.. 2014.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