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수24

방통의 죽음은 촉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글: 섭지추(葉之秋) 수경선생 사마휘가 남긴 명언이 영향을 크게 미친다: "와룡, 봉추, 한 명만 얻으면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다"(臥龍,鳳雛,得一可安天下). 그러나, 인덕의 군주인 유현덕은 제갈량과 방통 두 현인을 얻었는데, 여전히 통일천하의 대업을 완수하지 못했다. 이것은 무엇때문.. 2012. 8. 15.
가후(賈詡): 동한분열의 최고죄인 글: 호각조(胡覺照) <삼국지>의 저자인 진수(陳壽)는 통치계급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가후(賈詡)를 조조의 막료중 가장 중요한 모사중 한 사람으로 꼽았다. 순욱(荀彧), 순유(荀攸)와 나란이 거명했다. 당연히 여기에는 자신만의 이유가 있고, 가후는 확실히 얻기 힘든 인재이다. 만.. 2012. 2. 27.
모택동은 왜 제갈량의 군사적 재능을 인정하지 않았을까?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진실한 제갈량은 업적이 출중한 정치가이다. 촉국을 다스리는데 재능이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 뛰어난 점은 많지 않다. <삼국연의>에서 그려진 것처럼 그렇게 용병여신(用兵如神)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 <삼국연의>는 민간에 영향이 아주 .. 2012. 1. 1.
유비(劉備)의 묘는 어디에 있는가? 작자: 미상 촉한의 유비는 동오를 공격하다가 실패한 후 백제성(白帝城)으로 물러나 있다가 223년 4월에 병사한다. 5월, 제갈량은 영구를 모시고 성도로 되돌아오고, 8월에 매장한다. 그가 도대체 어디에 묻혔는지에 대하여는 3가지 설이 있다. 첫째 설은 유비의 묘가 성도(成都) 무후사(武侯祠)에 있다는.. 2010. 12. 22.
중국에서는 “태도(態度)”가 중요하다. 글: 이중천(易中天) 위명륜(魏明倫)선생이 나에게 “남충(南充)으로 가서 진수(陳壽)에게 사죄하라”고 요구한 사건은 기껏해야 하나의 자잘한 “원안(寃案, 억울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위선생이 <<성도일보>>의 왕가 기자에게 말할 때는 ‘사죄’라고 말한 적은 없고, .. 2010. 11. 9.
서복(徐福)은 일본으로 건너갔는가? 글: 소운(小雲) 기원전210년, 서복은 진시황의 명을 받아, '동남동녀 3천명'과 '백공(百工)'을 데리고, '오곡의 종자'를 가지고, 배를 타고 동해를 넘어 장생불로약을 찾으러 떠났다. 그렇다면, 서복은 정말 일본으로 건너갔을까? 어떤 사람은 서복이 확실히 일본으로 갔다고 한다. 심지어 어.. 2010.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