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무제12 진패선(陳覇先): 사후 30년만에 유골이 불태워진 개국황제 글: 진령일백(秦嶺一白) 진패선의 일생은 그의 이름과 마찬가지로 패기가 넘쳤다. 가난한 집안 출신의 그는 귀인의 도움과 스스로의 노력으로 마침내 남조의 권력최고봉까지 오르게 된다. 그러나 천도는 다시 윤회하는 법. 보복이 빠지지 않았다. 남량(南梁)의 무제(武帝) 소연(蕭衍)의 전.. 2018. 5. 11. 역사상 진실한 사마의는 얼마나 악독했을까? 글: 아시삼갑제사명(我是三甲第四名) 1. "본제생가(本諸生家), 전례래구(傳禮來久)" 진무제 사마염은 즉위후에 조서를 내려 자신의 가족이, "본제생가, 전례래구"라고 말했다. 이것은 과장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마씨가족은 명문거족이기 때문이다. 중국고대의 개국황제는 자신의 칠.. 2017. 8. 13. [황자쟁위술] 무장탈위술(武裝奪位術) 청군측패(淸君側牌) 팔왕의난편 팔왕지란은 서진 원강원년(291년)에서 광희원년(306년)까지 16년간 지속된 서진황실의 여러 왕들간의 중앙권력쟁탈전이다. 여기에 참가한 대표인물은 여남왕汝南王) 사마량(司馬亮), 초왕(楚王) 사마위(司馬瑋),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 제왕(齊王) 사마경(司馬冏), 장사왕(長沙王) 사.. 2015. 10. 18.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천사재화패(天賜才華牌) 사마휼편외 진무제(晋武帝) 사마염(司馬炎)은 비록 조위(曹魏)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올라 천하를 통일하지만, 황위의 승계에 있어서 하늘이 그에게 점지해준 적장자 즉, 나중의 진혜제(晋惠帝) 사마충(司馬衷)은 조부 사마의(司馬懿)나 부친 사마염을 닮지 않고, 일반인의 아이큐에도 못미쳤다. .. 2015. 10. 11. 팔왕의 난: 권력은 나쁜 것인가? 글: 장효정(張曉政) 290년, 진무제(晋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죽었다. 그는 통일한지 겨우 10년된 방대한 제국과 '왜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냐?'라고 물었다는 바보황제 진혜제(晋惠帝)를 남겼다. 불행한 것은 이 바보황제에게는 추악하면서도 악독하기 그지없는 황후 가남풍(賈南風)이 있었.. 2012. 7. 14. 중국역사상 세 사람의 백치황제(白痴皇帝) 중국역사상 백치황제(바보황제)는 모두 3명이 있었다. 첫번째이자 가장 유명한 바보황제는 서진(西晋) 혜제(惠帝)인 사마충(司馬衷)이다. 그는 진무제 사마염의 적차자였는데, 그의 형인 적장자 사마궤가 어려서 죽자, 적장자의 지위에 올라, 동국태자가 되었다. 당시 태자의 교육을 담당.. 2005. 8.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