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희13

왕양명(王陽明): 삼불후(三不朽) 글: 고성(高成) 중국고대에 어떤 사람이 불후의 인물이었을까? 노(魯)나라의 대부(大夫) 숙손표(叔孫豹)는 "입덕(立德), 입공(立功), 입언(立言)"해야 한다고 하였다.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이중 하나도 하기 힘들다. 위청, 설인귀, 이정, 반초등등의 선현도 겨우 그중 한두개만을 완성했을 뿐.. 2015. 3. 5.
왕양명: 용장오도(龍場悟道) 글: 두문자(杜文子) 왕양명은 명나라의 저명한 철학자이며 사상가이다. 그는 심학(心學)의 집대성자이다. 그의 위대한 학설로 그는 공자, 맹자, 주희와 나란히 '공맹주왕(孔孟朱王)'이라 불린다. 왕양명 학설의 핵심은 3글자로 요약할 수 있다: "심즉리(心卽理)". 그 뜻은 천하만물의 근원은.. 2014. 8. 27.
모기령(毛奇齡):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대가 글: 주운(周雲) 기실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사람은 현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고이래로 있었다. 일찌기 한나라때, 누군가 가짜경서를 만들거나, 유명학자의 제자를 사칭하며 여기저기 사기를 치고 다녔다. 그후, 이런 기풍은 계속되었다. 청나라때까지도 마찬가지이다. 청나라때의 학.. 2014. 1. 15.
경원당금(慶元黨禁): 남송역사의 대역전 글: 우운국(虞雲國) 순희(淳熙)16년(1189년), 송효종이 아들 송광종에게 황위를 넘겨준다. 이 남송의 제2대황제도 송고종의 뒤를 따라, 제2대 태상황이 된다. 누가 알았으랴 송광종이 즉위한지 3년이 되지 않아 정신병을 앓게 될 줄은. 전제정치체제하에서, 황제가 새옷을 입지 않았다고 말할.. 2014. 1. 14.
경원당안(慶元黨案): 주희(朱熹)는 비구니를 첩으로 삼았는가? 글: 월초(越超), 장수풍(張秀楓) 남송영종 경원(慶元)2년, 일대거유 주희(朱熹)는 하룻밤만에 명성이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주희는 그 후 몇년이 되지 않아, "납니위첩(納尼爲妾)", "위군자(僞君子)", "가도학(假道學)"이라는 질타와 욕설속에 비참하게 세상을 떠난다. 그렇다면, 역사상 주희.. 2012. 9. 19.
"위무자손(魏武子孫)"과 "조만유종(曹瞞遺種)" 글: 갈검웅(葛劍雄) "장군위무지자손(將軍魏武之子孫), 어금위서위청문(於今爲庶爲淸門)" 장군은 위무제 즉, 조조의 자손인데, 지금은 평범한 백성집안이 되었네. 이것은 당나라의 대시인 두보(杜甫)가 유명화가인 조패(曹覇)에게 써준 시 <단청인(丹靑引)>의 첫부분이다. 비록.. 201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