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운46

삼국명장들은 어떤 무기를 썼는가?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1. 여포(呂布) 척토마(赤兎馬)를 타고, 방천화극(方天畵戟, 畵杆方天戟)을 휘두르는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여포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것은 소설적인 기법으로 승화된 후의 모습이다. 사료의 기재를 보면, 적토마는 진실로 존재했다. 그러나, 방천화극은 .. 2013. 11. 10.
위연: 인간관계, 성격과 운명 글: 염호강(閻浩崗) <삼국연의> 제65회를 보면, 유비가 익주목이 된 후 그를 따라 사천에 들어온 여러 장수들에게 봉상(封賞)을 내린다. 관우, 장비, 조운, 황충, 위연, 마초의 6장수는 각각 탕구장군, 정로장군, 진원장군, 정서장군, 양무장군, 평서장군에 봉해진다. 제73회에서 유비가 .. 2013. 2. 16.
관우와 방덕: 유사성격의 충돌 글: 염호강(閻浩崗) 관우의 장점과 약점에 대하여는 <삼국연의>의 연구자들이 이미 많이 얘기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관우성격의 최대특징은 바로 "지나친 자신감"이다. 이 특징은 그가 몇 가지 기적을 만들어내게 했다. 예를 들어 순식간에 화웅의 목을 벤 것이나, 안량, 문추를 벤 .. 2013. 2. 16.
조조의 의심으로 인한 3차례 살인 글: 염호강(閻浩崗) <삼국연의>의 조조는 "휼(譎, 속이다)"과 "폭(暴)"으로 유명하다. "휼"에 관하여는 다른 글에서 적었고, "폭"은 살인을 좋아한다는 말이다. 기실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다. 조조가 천성적으로 살인을 좋아하는 심리적 변태이기 때문은 아니다. 한가지 상황은 극도의 .. 2013. 2. 8.
조운(趙雲)은 무장이 아니라 문신이다. 글: 이회순(易懷順) 만일 조운이 문신(文臣)이라고 한다면 논란을 한바탕 불러올 것이다. 그러나, 조운이 무장(武將)이라는 것은 확실이 의문이 든다. 조운의 오호상장(五虎上將)이라는 신분은 주로 나관중의 <삼국연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진수의 <삼국지>에는 그런 기.. 2012. 6. 29.
원나라의 해상운송시스템 글: 용엄(龍掩) 1271년, 쿠빌라이는 국호를 대원(大元)으로 정하고, 황제에 정식 등극한다. 그리고 남하하여 남송과의 전쟁계획을 세운다. 이때 남송은 임안(지금의 항주)등지를 점거하고 있었다. 쿠빌라이는 통로가 필요했다. 남방의 식량을 북방으로 운송해야 했다. 몽골인들은 말을 타고 자란 유목민.. 2010.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