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료21

감녕(甘寧): 동오 제일맹장 글: 일세소랑(逸世蕭郞) 동오 손권의 수하에는 장수가 적지 않다. 그러나 무력을 논하자면 모두 삼국초일류무장의 반열에 들기는 어려운 것같다. 손견, 손책은 용맹함으로 이름을 천하에 떨쳤다. 특히 손책은 삼국시대 강호에서의 지위가 보통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소패왕(小覇王)"이라.. 2016. 3. 16.
전위와 허저: 조조의 두 마리 맹견 글: 염호강(閻浩崗) 조조는 두 마리의 '맹견'을 키우고 있었다: 한 마리는 전위라 하고, 다른 한 마리는 허저라 한다. <삼국연의>를 정독한 사람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일 개인의 PvP전투능력을 논하자면 전위와 허저가 조조군대의 여러 장수들 중에서 앞의 두 가지를 차지할 것이다.. 2015. 6. 3.
서황(徐晃): 관우이후의 삼국제일명장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관우는 유비와 헤어진 후 조조에 의하여 토산에 포위된다. 가솔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약심사(約三事)"를 하고, "항한불항조(降漢不降曹)"를 투항조건으로 하여 투항한다. 이 일은 관우의 충성과 의기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조조의 도량을 반영한다. 기.. 2015. 2. 23.
장비와 조운은 누가 더 강한가? 글: 이치아(李治亞) 모두 삼국의 명장이지만, 어떤 사람은 장비와 조운중 누가 강한지를 묻기도 한다. 답안은 마치 나와 있는 것같다. 조운이 강하다고. 왜냐하면 역대이래로 이런 말이 있기 때문이다: 일여이조삼전위(一呂二趙三典韋), 사관오마육장비(四關五馬六張飛). 1위가 여포, 2위.. 2014. 12. 12.
관우의 "참안량주문추(斬顔良誅文醜)의 배후사정 글: 동호소주(東湖少主) 이런 말이 있다: "예고인담대(藝高人膽大)" 기예가 뛰어나면 담량이 커진다. 전투를 함에 있어서는 첫째는 무예에 의존하고, 둘째는 담량에 의존해야 한다. 특히 단병접전때 동등한 무예실력인 상황하에서는 좋은 심리소질을 지니는 것이 최종승리를 거두는 결정.. 2014. 5. 30.
여포(呂布)는 개세효웅(蓋世梟雄)인가? 글: 이치아(李治亞) 여포는 아주 잔인했다. 자신의 손으로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정원(丁原)을 죽였다; 여포는 아주 잔인했다. 자신을 발탁한 바 있는 동탁(董卓)을 죽였다. 대의멸친으로 보이고, 여포가 정의를 추구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누구도 여포를 그렇게 봐주지 않았다. 비록 .. 201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