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홍장97

새금화(賽金花)의 임종전 매체인터뷰 글: 반경적(潘京的) 1936년 12월 4일, 새금화가 병사한다. 그녀가 죽기 전에 만주족 언론인인 안의민(顔儀民)은 북평아동신문사(北平亞東新聞社) 사장의 신분으로 그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번 인터뷰는 경자지변(庚子之變)과 관련한 항간의 그녀에 관한 모든 소문을 다루었다. 그리고 .. 2019. 3. 8.
청나라때 황마괘(黃馬褂)는 누가 입었는가?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황마괘는 어떤 사람이 입었는가? 조정에서 누군가에게 상으로 하사하는 것은 어떤 경우인가? 먼저 우리는 "황마괘"가 도대체 어떤 것인지부터 알아보자. 우리는 먼저 청사전문가인 정천정(鄭天挺) 선생의 견해부터 보기로 하자. 정천정 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황.. 2019. 2. 7.
원세개의 용인철학(用人哲學): 4종류의 인재를 중용한다. 글: 백가잡평(百家雜評) 근대사의 풍운인물로 원세개(袁世凱)는 논쟁의 대상이다. 사학자들의 그에 대한 평가는 지금까지도 정설이 없다. 그러나, 만일 용인의 각도에서 본다면, 원세개는 거의 일치하여 찬양받는다. 심지어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보다도 훨씬 높은 평가를 받는.. 2019. 1. 26.
청나라에서 불평등조약을 가장 많이 체결한 대신은 누구일까? 글: 이자지(李子遲) 불평등조약일람표 1. 1841년. 중영(中英) 광주화약(廣州和約) 670만냥백은, 여보순(余保純) 2. 1842년, 중영 남경조약(南京條約), 2100만냥백은, 기영(耆英), 이포리(伊布里) 3. 1843년, 중영 남경조약보충조항, 기영 4. 1843년, 중영 호문조약(虎門條約), 기영 5. 1844년, 중미(中美) .. 2019. 1. 21.
영년(英年): 서태후가 총애한 풍수가 글: 포강객(浦江客) 광서24년(1898) 팔월 초엿새, 서태후는 정변을 일으켜, 변법을 시행하는 광서제는 영대(瀛臺)에 연금하고, 훈정(訓政)이라는 명목으로 최고권력을 다시 장악한다. 기실 1년전에, 대권을 놓칠까 우려하던 서태후는 이미 광서에제게 손을 쓴 바 있다. 그것은 바로 칠왕분(七.. 2019. 1. 20.
중국최초의 "국가(國歌)"는?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1997년 7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에 대한 주권을 회복했다. 홍콩회귀행사때, 이런 장면이 있었다. 0시이전 5분간 악단이 연주한 곡은 <말리와(茉莉花)>였다. 0시정각이 되자, 위풍당당한 <중화인민공화국국가>인 <의용군행진곡>이 연주되었다. <.. 2019.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