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원세개)

원세개의 용인철학(用人哲學): 4종류의 인재를 중용한다.

by 중은우시 2019. 1. 26.

글: 백가잡평(百家雜評)


근대사의 풍운인물로 원세개(袁世凱)는 논쟁의 대상이다. 사학자들의 그에 대한 평가는 지금까지도 정설이 없다. 그러나, 만일 용인의 각도에서 본다면, 원세개는 거의 일치하여 찬양받는다. 심지어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보다도 훨씬 높은 평가를 받는다.


모두 알고 있다시피, 원세개의 수하에는 인재들이 넘쳐났다. 예를 들어, 단기서(段祺瑞), 조곤(曹錕), 서세창(徐世昌), 당소의(唐紹儀), 오패부(吳佩孚), 양사이(梁士詒)등이 있다. 감탄스러운 점이라면 이들 인재들 가운데, 출신이 각양각색이라는 것이다. 가난한 집안출신, 명문집안 출신, 수재출신등등. 그래도 최종적으로는 큰 성취를 이룬다. 예를 들어, 단지귀(段芝貴)는 잡역부에서 민국상장에 이르고, 조곤은 베를 팔던 가난한 출신이 민국대총통에까지 오른다.


기실, 이것이 바로 원세개의 용인철학이다. 아래에서는 원세개의 용인철학을 살펴보자. 특히 4가지 종류의 사람을 원세개는 대거 중용했다. 주목할 사항은 지금까지도, 원세개의 용인철학은 배울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원세개의 용인철학을 논하기 전에, 먼저 원세개의 3가지 사람됨에 대한 이야기를 보도록 하자. 혹은 인재를 부리는 도리이다.


(1) 한번은 원세개가 만주족고관인 증숭(增崇)의 집을 방문했다. 증숭의 어린아들이 나와서 인사를 한다. 원세개는 어린아이의 손을 잡고서, "동생은 무슨 책을 갖고 싶어? 내가 보내 줄 수 있는데..." 그러자 어린아이는 몇 가지 책을 애기했다. 모두가 그저 원세개가 아이에게 상냥하게 대해주는 거라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다음 날 원세개는 한 상자의 책을 보내주었다. 그는 자신이 한 말은 지키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2) 원세개는 수하가 좋아하는 것을 머리에 새겨두었다. 한번은 원세개가 집에서 식사를 하는데, 홍소대제(紅燒大蹄)가 나왔다. 그는 요리를 잘 만들었다고 생각하여, 시종에게 한그릇을 담아서 풍국장(馮國璋)에게 보내주라고 한다. 원세개는 이렇게 말한다: "이 요리는 풍장군이 좋아하는 것이다. 보내줘서 그도 한번 맛을 보게 해줘라." 확실히 이렇게 하니 풍국장이 원세개에게 감격하지 않을 수 없다.


(3) 원세개는 돈을 아끼지 않았다. 원가를 따지지 않고 돈을 썼다. 완중추(阮中樞)는 이홍장이 '크게 쓰지는 못할 재목'이라고 평가받았으나, 나중에 이홍장이 원세개에게 추천한다. 그런데 마침 순천부윤으로 발령나는 바람에 원세개의 수하가 아니게 되었다. 그래도 원세개는 막료의 기준으로 그에게 급여를 준다. 그리하여, 원세개는 완중추의 충성심도 받아낸다.


결론적으로, 원세개는 사람으로서 처신을 잘 했다. 처신을 잘했다는 것을 일을 성공시켰다는 것만이 아니라 사람을 잘 썼다는 것을 말한다. 원세개는 천하에 있는 종류의 사람들은 반드시 중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첫째, 현재 쓸모있는 인재이다. 예를 들어, 단기서같은 경우는 원세개가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인재였다.

둘째, 현재는 쓸모없어 보이지만, 장래에 크게 쓰일 인재이다.

셋째, 현재는 그저 놔두고 마음만 사놓지만,  나중에 관건적인 순간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인재이다.

넷째, 쓸모없어 보이지만, 잘 기르면 인재가 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세개의 수하에는 인재가 많았다. 행정, 군정, 경찰, 재정, 교육, 외교등 분야의 인재가 넘쳐났다. 근현대중국에 많은 인재를 배출해주었다. 원세개는 이 점에서 중국에 공이 있다.


당시, 사람들의 원세개에 대한 평가는 이러했다: "사람을 쓰는데 사적으로 가까운 사람은 없다. 친척중에서 찾아오는 사람이 있으면, 모두 먹을 것은 마련해 주지만, 권한있는 자리는 주지 않았다." 원세개의 곁에 친척들 중 권력을 가진 사람은 찾아볼 수 없다. 원세개의 사후에 자녀에게 관직 하나 남겨준 것이 없다. 이것은 충분히 이 점을 설명해준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사람을 쓰는데 있어서 아무도 원세개에 비견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당연히, 원세개의 친족 중에서 능력이 있는 사람이 없어서 자리를 안배해주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청말민초의 풍운인물들 중에서, 원세개는 독보적인데, 그것이 우연만은 아니다. 다른 사람의 용인철학과 비교해보면 충분히 알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이홍장은 사람을 쓸 때 출신지역을 따져서, 고향사람을 중용했다. 증국번은 사람을 쓰면서 유가도덕을 중시한다. 그래서 많은 장군들이 그와 반목하여 원수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원세개의 용인에서는 지역도 따지지 않고, 도덕도 따지지 않았다. 그는 겸수병축(兼收幷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군인이든, 깡패이건, 장삿군이건, 청년학생이건, 이익을 쫓는 자이건, 아편쟁이이건 가리지 않았다. 그저 위의 4가지 기준에만 부합하면 중용했다. 그는 진정으로 유재시거(唯才是擧)를 해낸 인물이라 할 수 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