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홍장97

이홍장과 찹수이(Chop suey) 글: 설이(雪珥) 로스앤젤레스에 밤의 장막이 내려왔다. 청결한 리틀도쿄에서 고개를 들어보면 황혼중에 높이 걸린 글씨가 보인다: Chop Suey 미국전역을 풍미했던 이 이름은 미국 병사들이 전세계로 퍼트렸다. 중국과 일본을 포함해서. 이 단어는 기실 광동어인 "잡쇄(雜碎)"를 영어로 부른 .. 2012. 3. 31.
단기서(段祺瑞): 그는 어떻게 북양정부의 2인자가 되었는가? 글: 왕사군(王仕軍) 단기서(돤치뤼)는 북양군벌사상 명성을 떨치면서 논쟁이 있는 인물이다. 그의 굴기는 비록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어떤 각도에서 분석하더라도, 대포(大砲)와 긴밀하게 관련있다. 그는 대포로 인하여 유명해진 인물이라고 해도 될 정도이다. 어렸을 때의 단기서는 .. 2012. 3. 10.
청일전쟁의 패배는 당쟁때문이다 글: 정만군(程萬軍) 붕당지쟁(朋黨之爭)은 중국역사이래 계속 얘기되던 이슈이다. 동시에 세계역사상으로도 자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한 것은 청나라말기에 중국과 일본은 마찬가지로 붕당지쟁이 있었지만, 전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중국과 일본 양국이 하나는 흥성하고 하나는.. 2011. 7. 19.
청나라말기의 "입헌"과 "혁명" 글: 뇌이(雷頤) 청나라말기에 '입헌(立憲)'과 '혁명(革命)'의 시합에서 전자는 후자에 패배한다. 이는 아쉬운 일이다. 왜냐하면 그 후에 이어진 것이 재화가 끊이지 않는 사회의 대혼란이었기 때문이다. 소건(邵建)의 <혁명이 입헌을 억제하다>와 <입헌파의 민주노선도>는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 2011. 6. 11.
장애령(張愛玲)의 집안내력 글: 유계흥(劉繼興) 절대재녀 장애령의 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장애령의 작품은 속세생활에서 소재를 찾았고, 서방 현대심리분석파의 요령과 중국고전소설의 서사필법을 기묘하게 결합시켰으며, 상상력은 화려하고 풍부하다. 서방학학계에서 중국현대문학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 2011. 2. 11.
호설암(胡雪巖): 그저 황음한 졸부였다 글: 왕위(王偉) 호설암(1823-1885)의 이름은 광용(光鏞)이고 자가 설암이다. 안휘 적계(績溪)사람이며 호경여당(胡慶餘堂)의 창시자이다. 그는 빈한한 출신으로 장사에 재능이 있었고, 처세술에 능한 것으로 유명했다. 그는 일대의 거상으로 불리웠다. 서태후는 그에게 황마괘(黃馬褂)를 내리고 “포정사.. 2010.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