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융기43 안록산(安祿山)은 어떻게 장안을 점령하였을까?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천보15년(756년) 육월, 동관(潼關)이 함락된 그 날, 가서한(哥舒翰)의 부하는 화급히 상황을 조정에 보고하여 모두 준비를 하도록 한다. 그런데 당시에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당현종 이융기는 사자(使者)를 접견하지 않고, 단지 이복덕(李福德)등에게 부대를 .. 2018. 7. 19. 역사상 현무문(玄武門)에서 사건이 가장 많이 일어난 이유는...?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오늘 소개할 내용은 중국역사상 사고빈도가 가장 높은 성문이다. 아주 많은 인물들이 여기서 쓰러졌다. 이 성문은 바로 현무문(玄武門)이라 부른다. 먼저, 우리는 왜 현무문이라고 부르는지를 알아야 한다. 중국은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를 숭상했다. 대.. 2018. 2. 28. 이성기(李成器): 황제의 형으로 죽지 않은 인물... 글: 장금(張嶔) 고금중외에 만일 어느 신분이 겉으로 보기에는 아주 존귀하지만, 실제로는 고위험군에 속할까? 답안은 '황제의 형(皇兄)'이다. 이 신분은 얼마나 고위험군인가? 고대사를 보면 황위를 다투는 경우에 형이라는 이름을 달면 비참하게 죽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뭐가뭔.. 2018. 2. 26.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주차보수패(丟車保帥牌) 유강편외 고수들이 장기를 둘 때, 차(車)의 득실은 전체 판의 승부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들이 장(將, 중국장기에서는 帥)을 공격하여 위기에 빠지게 되면, 진정한 고수라면 차를 버려서 장을 구한다. 왜냐하면, 이렇게 해서 목숨을 부지해야 나중에 승리를 거둘 희망을 남길 수 있기.. 2015. 10. 11.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차목탑교패(借木搭橋牌) 농업, 공업, 상업을 경영하건, 아니면 제왕의 사업을 투기적으로 경영하건 차목탑교(나무를 빌려 다리를 놓는다)의 방식은 상책중의 상책이다. 무슨 일을 하건 먼저 어느 정도의 본전을 투입해야 한다. 여불위 같이 제왕지업(帝王之嶪)을 경영하면 일본만리(一本萬利)할 수도 있다. 그리.. 2015. 10. 11. [황자쟁위술] 무장탈위술(武裝奪位術) 내선득위패(內禪得位牌) 당현종편외 무측천을 몰아내고 당중종이 복위한 후, 황후 위씨(韋氏)와 딸 안락공주(安樂公主)가 조정을 좌지우지한다. 위후는 성격이 음탕하여 부도(婦道)를 지키지 않아 당시에도 말들이 많았고, 안락공주는 스스로 제2의 무측천이 되고자 황태녀(皇太女)에 오르고자 했다. 안락공주는 황태녀가 되.. 2015. 10. 11.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