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각14 여포는 백전백승이 아니었다. 글: 이치아(李治亞) 삼국시대의 여포는 아주 유명하다. 삼국연의에서는 심지어 그를 최고명장으로 꼽았다. 그래서 소위 "일여이마삼전위(一呂二馬三典韋), 사관오조육장비(四關五趙六張飛), 황허손태양하후(黃許孫太兩夏侯), 이장서방감주위(二張徐龐甘周魏), 창신장수화문안(槍神張繡.. 2015. 6. 16. 이세민의 양숙비(楊淑妃)는 어떤 사람인가? 글: 이치아(李治亞) 이세민 부자가 대수(大隋)의 강산을 빼앗은 후, 전리품으로, 이세민은 다시 양광(楊廣)의 딸을 후궁으로 취한다. 그 양비의 몸에는 비록 황가의 혈맥이 흐르지만, 아주 겸허하게 지냈다. 어쨌든 그녀는 망국의 군주의 후손이므로 그녀의 일거일동은 문무대신들이 주목.. 2015. 2. 10. 동탁(董卓)의 사후 왕윤(王允)이 1인자가 되지 못한 이유는? 글: 이치아(李治亞) 동탁은 서량(西凉)의 1인자이다. 중앙조정을 여러해동안 장악하고 있었다. 당시 어린 황제는 겁이 많았고, 동탁이 다시 폐위시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었다. 동탁은 아주 대단했다. 한소제도 죽이려고 하면 죽였다. 하황후도 독주를 먹고 죽었다. 이때의 동탁은 한 손.. 2013. 6. 11. 여포(呂布)는 왜 백문루에서 목숨을 잃었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여포는 삼국명장이다. 일찌기 삼국의 전장에서 풍운을 질타한다. 동탁을 위하여 자사 정원을 죽였고, 호뢰관에서는 혼자서 도원삼영(유비,관우,장비)와 싸웠다. 나중에 왕윤과 공모하여 동탁을 죽인다. 그리고 일찌기 이각 곽사에게 도전한 바 있다. 그는 그 이름도 유.. 2013. 4. 27. 당태종 이세민의 자녀들 작자: 미상 당태종 이세민은 626년에 즉위한 후 24년간 재위했다(627-649).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보기드문 타천하(打天下)도 할 줄 알고, 치천하(治天下)도 할 줄아는 명군이었다. 그러나 권력을 쟁탈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두 형제를 죽이고, 부친을 퇴위시켰고, 여러 아들을 죽게 만들.. 2013. 4. 13. 당태종의 14명의 아들 글: 일득재주(一得齋主) 당태종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일대명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을 얘기하자면, 그들은 대부분 싹수가 없었다. 결말도 아주 비참했다. 그중 3명은 피살당하고, 3명은 자살했으며, 3명은 요절했고, 1명은 유폐되었다. 2명은 서인으로 폐해진 후 다시 유배.. 2012. 8. 1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