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철21

파출백가(罷黜百家): 한무제의 가장 큰 실수 글: 이중천(易中天) 한무제는 기실 아주 가련하다 염철회의의 소집은 시원6년(기원전81년)의 일로, 한무제가 죽은지 겨우 6년으로 시골미한(屍骨未寒)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현량문학들의 발언은 철저히 청산하는 의미를 드러냈다. 비록 원래 한무제가 없었더라면 현량문학도 있.. 2014. 8. 26.
누가 한무제를 황제로 만들었는가? 글: 후홍빈(侯虹斌) "만일 아교를 부인으로 맞이할 수 있다면, 황금으로 집을 만들어 살게 하겠습니다." 이 귀에 익숙한 '금옥장교(金屋藏嬌)'의 이야기는 야사 <한무고사>에 나온다. 그러나, 이러한 아름다운 이야기의 뒷면에는 소리장도(笑裏藏刀)의 탈적(奪嫡)의 이야기가 숨어 있다.. 2014. 7. 17.
금옥장교(金屋藏嬌)는 애정동화가 아니다. 글: 조염(趙炎) 4살짜리 사촌동생이 14살짜리 사촌누나를 처로 취한다. 한무제 유철(劉徹, 원명은 劉彘)이 약 4살때, 고모인 유표(劉嫖)는 그를 무릎에 안고서 그에게 장난스럽게 묻는다: "너는 처를 취하고 싶으냐?" 유철은 말한다: "예" 유표는 곁에 있는 많은 궁녀들을 가리키며, 그.. 2014. 5. 30.
남제(南齊): 일년삼제삼연호(一年三帝三年號) 글: 악망(樂奀) 연호(年號)는 중국봉건제도의 일대 '발명'이다.고대황제가 기년(紀年)에 쓴 전용명칭이다; 제왕의 정통을 나타내며, 서한(西漢) 한무제(漢武帝) 유철(劉徹)이 창시한 이래 역대제왕이 즉위하면 일반적으로 연호를 만들었다. 원세개(袁世凱)가 황제제도를 복벽한 후, "홍.. 2013. 9. 14.
유표(劉嫖): 황태후가 아니면서 후궁을 장악한 인물 글: 소랑(小浪) 중국역사상, 이런 여인이 있다. 그녀는 황태후가 아니었다. 그러나 그녀의 지위와 권세는 황태후보다 높았다. 그녀는 서태후처럼 수렴청정을 하지도 않았고, 무측천처럼 일대여황에 되지도 않았다. 그러나 그녀는 황실의 권력다툼에서 후궁을 독패한다. 그녀는 딸을 이용.. 2013. 8. 24.
유하(劉賀): 27일만에 황제에서 쫓겨난 황당한 인물 글: 유병광(劉秉光) 황제가 빨리 죽으면서, 자식이 너무 어리거나 자식이 없어서, 승계문제로 정치적인 혼란이 조성되는 경우가 있다. 서한때 발생한 '곽광폐립(霍光廢立)"사건은 그 대표작이라 할 만하다. 원평원년(기원전74년), 한소제 유불릉이 사망하고, 그는 후사를 남기지 못했다.. 2013.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