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방185

파출백가(罷黜百家): 한무제의 가장 큰 실수 글: 이중천(易中天) 한무제는 기실 아주 가련하다 염철회의의 소집은 시원6년(기원전81년)의 일로, 한무제가 죽은지 겨우 6년으로 시골미한(屍骨未寒)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현량문학들의 발언은 철저히 청산하는 의미를 드러냈다. 비록 원래 한무제가 없었더라면 현량문학도 있.. 2014. 8. 26.
전국옥새(傳國玉璽)의 5가지 버전 글: 장유정(張柔情) <중외중대역사지미도고(제2집)>은 작자가 친히 역사유적지를 조사하고, 역사수수께끼를 고찰하며, 역사상의 현안들을 해석한 것을 기록했다. 예를 들어, 구천, 범려가 구금된 뇌옥이 엄성(淹城)에 있다든지, 촉신독도(蜀身毒道)의 조사기록, 진시황 전국옥새의 수.. 2014. 8. 26.
유방은 천하통일에 성공하고, 유비는 실패한 이유는? 글: 복녕객(福寧客) 유방이 누구인가? 말하지 않아도 모두 알 것이다. 유비는 누구인가? 역시 말하지 않아도 모두 알 것이다. 대한왕조의 개국군주로서 유방의 역사적 공적은 유비보다 훨씬 크다. 경전적인 명저 <삼국연의>의 주인공중 하나로서, 유비의 명성은 확실히 유방을 넘어선.. 2014. 7. 17.
한무제의 독존유술(獨尊儒術) 글: 이중천(易中天) 한무제는 하나의 중요한 결정을 내린다: 파출백가(罷黜百家), 독존유술(獨尊儒術). 이것은 천추만대에 영향을 끼친 중대사이다. 이때부터, 중화제국은 국가의식형태가 생기고, 변함없는 핵심가치가 생기게 된다. 제국은 하나의 제도로서 이천여년간 안정적으로 연속.. 2014. 7. 17.
일본인은 청일전쟁을 어떻게 보는가? 글: 장풍(蔣豊) 세월이 흘러서 다시 갑오년이 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갑오전쟁)이 발발할 때, 일본국민들은 이해를 하지 못했다. 그들은 왜 제자인 일본이 자신의 스승인 중국에 칼을 겨누고 덤벼드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명치대정견문록>의 기술에 따르면, 청일전쟁이 개전되는 초.. 2014. 6. 23.
유방의 부하는 어떤 사람들인가? 글: 이치아(李治亞) 유방은 한고조이다. 참백사기의(斬白蛇起義)부터 삼년만에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오년만에 초나라를 멸망시키면서 마침내 천하를 가진다. 포의천자이므로, 유방의 건국에는 개국공신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유방의 수하인 개국공신은 모두 어떤 사람들일까/ 첫째, 반.. 201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