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계12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천사재화패(天賜才華牌) 이세민편등 사서는 이세민이 형인 태자 이건성보다 훨씬 총명했다고 기록한다. 비록 이것이 사실에 완전히 부합하는지 여부는 알 수가 없지만, 사서나 야사에서 이 기조에 따른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런 이야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다음에 소개하는 한가지 사례로 알 수 있다. .. 2015. 10. 11.
유방(劉邦)과 한중(漢中) 글: 가운봉(賈雲峰) 기원전206년, 한때 유계(劉季)로 불리웠던 유방은 왕이 된다. 한왕 유방은 남정(南鄭, 지금의 한중시 한대구)를 도읍으로 정하고, 봉지는 진령이남의 파(巴), 촉(蜀), 한중(漢中)의 3군지지(三郡之地)이다. 유방이 부대를 이끌고 한중에 들어가기 전에 모사 장량은 그에게 .. 2014. 1. 29.
주발과 주아부: 서한(西漢) 부자명장과 감옥 글: 풍점우(馮占宇) 주발(周勃) 은 서한(西漢)의 개국공산이다. 유방을 따라 남정북전(南征北戰), 공성약지(攻城掠地)에 큰 공을 세우고, 강후(絳侯)의 작위에 봉해진다. 주발의 아들인 조후(條侯) 주아부(周亞夫)는 치군(治軍)이 엄명하고, 용병(用兵)에 능한 것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친다. .. 2013. 11. 10.
중산왕(中山王) 유승(劉勝): 고대에 가장 많은 아들을 둔 인물 글: 유계흥(劉繼興) 중국고대는 장기간 봉건시대였다. 처첩이 많고 자녀가 많은 것이 이상할 것도 없었다. 후궁가려가 무수했던 강희제는 일생동안 55명의 자녀를 가졌으며 그중 35명의 아들, 20명의 딸을 두었다.(살아남은 아들과 딸은 각각 24명, 12명이다). 자녀가 많기로 역대 황제중 최.. 2013. 5. 3.
유방과 그의 형제들 글: 진사황(秦四晃) TV드라마 <초한전기>를 보면, 한고조 유방의 가정구성원에 그의 부친 유노태공(劉老太公)을 제외하면 단지 성실한 둘째형과 둘째형수만이 나타난다. 큰형수는 아마 어느 회에선가 나타났다가 그 다음에는 소식이 없어졌다. 친구가 호기심에 물어왔다: 유방의 큰형.. 2013. 3. 13.
칠국지란(七國之亂): 바둑 한 판에서 비롯된 내전 글: 월초(越楚) 한경제(漢景帝) 3년(기원전154년), 오왕(吳王) 유비(劉濞)는 초왕(楚王), 조왕(趙王), 교서왕(膠西王), 교동왕(膠東王), 치천왕(菑川王), 제남왕(濟南王)과 결탁하여 공동으로 반란을 일으킨다. 역사에서 ‘칠국지란’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이 대란의 도화선은 한경제 유계(劉啓)의 사.. 2011.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