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충현29

동림당점장록(東林黨點將錄) <동림당점장록>은 천계5년(1625년), 위충현(魏忠賢)의 일당인 좌부도어사(左副都御史) 왕소휘(王紹徽)가 <수호전>의 방식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동림당 108명을 모아서 <동림점장록>을 만든다. <동림점장록>의 판본은 아주 많고, 다음은 진상에 가장 접근하는 버전이다. 명.. 2014. 4. 4.
명나라는 태감의 정치간여로 망했는가? 글: 홍촉(洪燭) 태감에 대하여 얘기하면 사람들은 위충현(魏忠賢), 이연영(李蓮英)같은 반면인물을 생각할 것이다. 자금성은 그들을 유명하게 만들었고, 지금까지도 악명을 널리 떨치고 있다. 기실 태감 자신도 불행하다. 봉건시대의 희생품이다. 제왕들의 음암(陰暗)한 심리가 태감의 생.. 2013. 11. 10.
중국고대의 도청(盜聽) 시스템 글: 오구(吳鉤) 명나라초기에 두 명의 관리가 있다. 모두 송(宋)씨이다: 송렴(宋濂). 송눌(宋訥). 두 사람은 나이도 비슷했다. 송렴은 1310년에 태어났고, 송눌은 1311년에 태어났다. 명나라 홍무연간 송렴은 <원사(元史)>를 편찬하는 총채관에 임명되고, 송눌은 국자감 제주(지금으로 말하.. 2013. 6. 26.
명희종: 위충현과 객씨(客氏) 글: 우좌(于左) 명나라때인 천계6년 오춸초엿새 오전, 북경서에서는 돌연 거대한 폭음이 들렸다. 졸지에 하늘과 땅이 어두워진다. 강한 공기충격이 밀려왔다. 무거운 석사자도 성밖으로 날아가고, 길가던 행인들의 옷도 순식간에 벗겨져서 서산의 나무에 걸렸다. 날아간 은전, 기물등.. 2013. 4. 27.
중국고대의 환관학교(宦官學校)에서는 무엇을 가르켰는가? 글: 장명(張鳴) 고대중국은 어느 왕조이건 학교를 가지고 있었다. 관학(官學)도 있고, 사학(私學)도 있다. 그러나, 환관을 위하여 전문적으로 설립한 학교가 있다는 말은 아마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있었다. 명나라때부터. 명나라때의 환관은 태감(太監)이라고 불렀다. .. 2011. 11. 11.
명나라는 지나친 언론자유로 멸망했는가? 글: 주가웅(朱家雄) 청나라는 100년이상에 걸치는 잔혹한 문자옥(文字獄)정책을 썼다. 명나라때 살았던 사람들이 누린 언론의 자유라는 행복은 청나라사람들이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사실상, 명나라 통치자들의 언론자유에 대한 포용력은 대단했다. 역대왕조와 비교하더라도 첫손에 꼽힐 정도.. 2010.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