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명제9 고평릉사변(高平陵之變): 사마의는 어떻게 성공했는가? 글: 신계(神啓) 위소제(魏少帝) 조방(曹芳) 가평(嘉平)원년(249년), 사마의(司馬懿)는 조상(曹爽)이 천자와 백관을 데리고 선제(先帝)의 고평릉에 제사를 지내러 간 틈을 타서, 낙양성(洛陽城)에서 정변을 일으킨다. 역사에서는 이를 고평릉사변이라고 부른다. 사마의는 조상의 삼족을 죽이고, 조상을 우두머리로 하는 조위종실(曹魏宗室)의 조정내 세력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조위의 정국을 장악한다. 고평릉사변은 조위역사의 중요전환점이고, 사마씨가 위를 찬탈하여 진을 세우는 시작점이 된다. 1. 총호칩복(塚虎蟄伏): 사마의의 계획 위명제(魏明帝) 경초(景初)2년(238년), 위명제의 병이 위중해지고, 임종전에 총신 유방(劉放), 손자(孫資)의 건의를 받아, 대장군 조진(曹眞)의 아들 조상과 사마의를 보정(輔政.. 2022. 8. 30. 대월지(大月氏): 파키스탄에서 듣는 천년의 이야기 글: 고산둔정위(靠山屯政委) 파키스탄을 여행하는 중에, 우리는 자주 각양각색의 건축물을 보았다. 중서문명이 교차한 곳으로서 이슬람교가 파키스탄에 들어오기 전에, 불교는 전체 인더스강유역의 주요지역에서 성행했고, 특히 그중 대표적인 것은 간다라문화이다. 1. 무엇이 간다라문화인가? 필자의 간다라예술에 대한 이해를 얘기하자면, 2012년 파키스탄여행때 알게 된 사이푸르 라한다 박사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라는 책의 작자이고, 일찌기 라호르박물관 관장을 수년동안 역임했다. 필자가 파키스탄을 갔을 때 그 관장을 만났다. 74세의 역사학자는 아주 열정적으로 그가 간다라지구에서 본 일들을 얘기해 주었다. 지리적인 의미로 말하자면, 고대에 간다라를 지나는 옛도로는 몇 개가 있다. 그중에는 비단길의 남쪽 지선(支線).. 2020. 11. 1. 삼국소인물(7), 오질(吳質), 조비의 고급참모 글: 정순방(鄭純方) 필자는 자주 두 사람을 생각한다. 조위의 두 중요한 모사이다. 그들은 각각 학식도 뛰어나고, 모략에도 각각의 장점이 있었다. 총명도로 보아도 고하를 가리기 힘들었다. 그들은 적수이면서 그렇다고 원수는 아니었다. 그들의 장점과 결점은 너무나 분명하다. 최후를 .. 2018. 1. 9. 하후패(夏侯覇): 하후연의 아들은 왜 부친을 죽인 원수에게 투항했을까? 글: 지역사(知歷史) 하후연(夏侯淵)은 삼국시대초기의 수퍼맹장이며, 조조의 심복이다. 남정북전에서 혁셕한 전공을 세운다. 한마디로 말하면 "호보관우(虎步關右)"이다. '호보'는 휩쓸고 다닌다는 뜻이고, '관우'는 동관의 서쪽 즉, 장안을 비롯한 관중지역을 말한다.다만, 정군산(定軍山).. 2017. 10. 11. 삼국시대 공고진주(功高震主)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최후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어떤 사람이 어떤 일에 처하면 모두 자신이 처한 지위를 분명히 해야 한다. 주(主)인지 객(客)인지. 예를 들어 주군의 앞에서 신하는 영원히 객의 지위이다. 절대로 주군의 앞에서 자신의 재능을 자랑해서는 안된다. 특히 다른 사람이 있을 때에는. 삼국시대 양수(.. 2015. 1. 14. 화흠(華歆): 관녕할석(管寧割席) 글: 성건(成健) 화흠은 한말위초때의 사람이다. 사람들은 '관녕할석'이라는 고사로 그를 알고 있다. 관녕과 화흠은 젊었을 때 친한 친구였다. 두 사람은 채소밭에서 호미로 잡초를 제거하다가 땅 위에 금조각(金片)이 떨어져 있는 것을 본다. 관녕은 종전과 똑같이 호미질을 하며, 금조각.. 2014. 5.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