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문화급20 조군언(祖君彦): 격문(檄文) 하나로 수양제의 악명을 역사에 기록하다 글: 효풍모우(曉風暮雨) 수나라 대업13년(617), 와강군(瓦崗軍)에서 수양제를 토벌하자는 격문을 세상에 내놓는다. 거기에는 수양제의 시부찬위(弑父纂位), 황음난륜(荒淫亂倫), 황폐정사(荒廢政事), 영건궁전(營建宮殿), 가연잡세(苛捐雜稅), 순행무도(巡幸無度), 궁병독무(窮兵黩武), 거간.. 2018. 10. 20. 당고조의 총비(寵妃) 우문소의(宇文昭儀)는 현무문사변에 어떤 입장이었을까? 글: 상륭십팔장(祥隆十八章) 당고조 이연의 열한번째 아들인 이원가(李元嘉)는 유명한 현왕(賢王)이고, 이당종실 내에서 명성이 널리 퍼졌다. 곽왕(霍王) 이원궤(李元軌)보다 대단했다. 그리고 그가 어렸을 때, 생모인 우문소의때문에 그는 당고조 이연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랐다. 언뜻 .. 2018. 8. 9. 수문제의 다섯 아들... 글: 풍현일(馮玄一) 수문제(隋文帝) 양견(楊堅)은 웅재대략의 군주이다. 그는 수나라를 건립했고, 다른 지방할거세력을 멸망시키고 전국을 통일한다. 그후에 제도를 창건하고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하게 하여, 금방 국가의 흥성과 번영을 회복한다. 그러나 그의 둘째아들 양광(楊廣)이 즉.. 2018. 7. 28. 중국의 복성(復姓): 왜 복성은 고아(高雅)하게 들리는가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중국의 성씨는 단자(單字) 위주이다. 랭킹 100위까지의 성은 모두 단성(單姓)이다. 복성(復姓)은 생활에서 흔히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무협소설에는 적지 않은 주요인물이 복성이다. 예를 들어 서문취설(西門吹雪), 헌원계상(軒轅繼相), 동방불패(東方不敗)등등. .. 2018. 7. 19. 우문사급(宇文士及): 당태종은 왜 그를 중용했는가 글: 모운서(慕雲舒) 정관연간, 한번은 당태종 이세민이 궁중을 거닐다가 나무 한 그루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한다: "이건 가목(嘉木)이구나!" 그러자, 곁에 있던 우문사급이 그 말을 듣고, 이세민의 뜻에 맞추어 그 나무를 한참 칭송한다. 그러자 이세민은 바로 정색을 하고 말한다: "위징이 .. 2018. 5. 10. 중국고대 승상(丞相) 전체명단 글: 추월랑(秋月朗) 중국고대에 춘추시대부터 승상을 두기 시작하여 명태조 주원장이 홍무13년 승상을 폐지할 때까지, 1600년간 모두 300여명의 승상이 나타난다. 춘추전국(17명) 관중(管仲) 소진(蘇秦), 장의(張儀), 범저(范睢), 안영(晏嬰), 범려(范蠡), 이회(李悝), 위서(魏舒), .. 2016. 1. 3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