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윤17

채옹(蔡邕): 삼국시대 너무 뛰어나서 죽임을 당한 문인 글: 이치아(李治亞) 옛말에 이런 말이 있다: "요요자이결(嶢嶢者易缺), 교교자이오(皎皎者易汚)". 그 의미는 품행이 고결하여 옥석과 같이 흰 사람은 아주 쉽게 더러워진다는 것이다. 성격이 강직하고 뛰어난 사람은 왕왕 쉽게 비난을 받는다는 것이다. 나중에 사람들이 말하는 "목수어림(.. 2015. 6. 18.
여포는 기실 선량한 사람이다. 글: 이치아(李治亞) 후세인들이 삼국연의를 읽으면 여포에 대하여 욕을 해 마지 않는다. 무슨 반복무상(反復無常)이라고 말한다든지, 장비가 말하는 것처럼 '삼성가노(三姓家奴)이며, 가장 신의없는 사람'이라고 한다. 기실 다른 사람이 삼국연의를 볼 때는 다른 견해를 갖게 된다. 예를 .. 2015. 2. 10.
조조는 동탁을 암살하지 않았다.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삼국연의>에 조조가 동탁을 암살하는 장면이 있다. 당시 동탁이 권력을 농단하고 있어서, 사도 왕윤이 신하들을 불러모아놓고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돌연 조조가 박수를 치며 크게 웃는다. "조정의 공경들이 밤부터 낮까지 곡을 하고, 낮에서 밤까지 곡을 하.. 2015. 2. 10.
"십팔로제후"는 왜 동탁에게 패배했는가? 글: 동호소주(東湖少主) 동탁이 권력을 찬탈하자, 천하는 속속 그를 토벌하러 나선다. 조조가 앞장서서, 십팔로제후가 낙양에 모이는데, 그 기세는 사상유례없이 대단했다. 이치대로라면 이러한 기세로 충분히 동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각지도 못하게, 이 아주 강대해보이는 '.. 2014. 3. 2.
동탁(董卓)의 실패원인 글: 진사황(秦四晃) 동한말기, 만일 황제위를 빼앗고 스스로 왕조를 세운다면, 동탁이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성공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다. 주관적으로 분석하면 동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허작가(弄虛作假) 동탁이 하진(何進)의.. 2013. 6. 26.
동탁(董卓)의 사후 왕윤(王允)이 1인자가 되지 못한 이유는? 글: 이치아(李治亞) 동탁은 서량(西凉)의 1인자이다. 중앙조정을 여러해동안 장악하고 있었다. 당시 어린 황제는 겁이 많았고, 동탁이 다시 폐위시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었다. 동탁은 아주 대단했다. 한소제도 죽이려고 하면 죽였다. 하황후도 독주를 먹고 죽었다. 이때의 동탁은 한 손.. 201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