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귀비37

서태후와 진비(珍妃): 고부갈등의 원인은? 글: 홍촉(洪燭) 자금성을 산보한다. 내가 가장 잊지 못할 곳은 삼대전(속칭 금란전인 태화전 포함)도 아니고, 건청궁, 곤녕궁같은 것도 아니며, 후화원의 한 말라버린 우물이다. 그것은 자금성의 여러 우물들 중에서 가장 별볼일 없는 것일 것이다. 밋밋하다. 다른 우물들은 대부분 한백옥.. 2013. 5. 18.
당현종 이융기는 왜 하루동안에 3명의 황자를 폐했는가? 글: 양영춘(梁迎春) 개원25년, 천하를 깜짝 놀라게 하는 사건이 하나 일어난다. 태자(太子) 이영(李瑛), 악왕(卾王) 이요(李瑤), 광왕(光王) 이거(李琚)를 이모(異謀)라는 죄명을 받아 황제 이융기에 의하여 폐위되고 서인이 되어 궁안의 동성에 갇힌다. 반달도 지나지 않아, 이융기는 .. 2012. 12. 22.
중국고대사대미녀의 다른 버전 글: 막수녀(莫愁女) 중국고대 '사대미녀"는 일반적으로, 서시, 왕소군, 초선, 양옥환(양귀비)를 가리킨다. 기실, 침어(沈魚)의 원형은 서시가 아니었다. 서시와 동시대의 미녀인 모장(毛嫱)이 그녀보다 훨씬 완벽했다. 왕소군은 그저 한나라궁중의 일반적인 미녀에 불과했다. 궁중에서 .. 2012. 7. 9.
당태종 이세민 신변의 3명이 젊은 미녀 글: 이항창(李恒昌) 역사상의 절대다수의 제왕들과 마찬가지로, '풍류천자' 당태종 이세민의 신변에도 예쁜 젊은 여인들이 많았다. 이들 젊은 여성들을 현대적인 분류방식으로 나누자면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문학소녀, 보통소녀 및 불량소녀. 그녀들은 각자 특색이 있고, 각자 개성.. 2012. 6. 23.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당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당나라는 중국인들이 가장 그리워하는 왕조이며, 중국역사상 태상황을 가장 많이 배출한 왕조이기도 하다. 양견이 북주의 고아과부로부터 북주정권을 탈취한 후, 개황원년(581년) 정식으로 수왕조를 건립한 때로부터 당공 이연이 양유(楊侑)를 괴뢰황제로 옹립한 .. 2012. 3. 14.
중국역사상 아들의 처를 빼앗은 제왕은? 글: 사지동(謝志東) 아들의 처를 빼앗은 제왕이라고 하면, 아마 바로 당현종 이융기(李隆基)를 떠올릴 것이다. 양귀비(楊貴妃)는 원래 그의 아들인 수왕(壽王) 이모(李瑁)의 비(妃)였다. 나중에 백거이(白居易) 선생은 <장한가(長恨歌)>를 써서 이 일을 심금을 울리는 사랑의 이.. 2012. 1. 8.
마외병변(馬嵬兵變): 양귀비의 최후 작자:미상 천보14년(755년)은 당현종에 있어서 남다른 1년이었다. 이 해에 모두가 아는 ‘안사의 난(安史之亂)이 일어난다. 다음 해인 천보15년(756년) 유월, 안록산은 동관(潼關)을 함락시킨다. 유월 십삼일 여명, 당황한 당현종 이융기는 가솔, 심복을 이끌고 장안을 빠져나간다: 양귀비 자매, 황자, 후궁,.. 2010. 12. 29.
양귀비와 안록산의 사통설 글: 월초(越楚) 후세인들에 의하여 중국고대 ‘4대미녀’중 하나로 꼽히는 양귀비는 태어나면서부터 빼어난 용모를 지녔을 뿐아니라, 노래도 잘하고 춤도 잘 추었으며, 음률에도 능통했으니, 당나라 연예계의 제일인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나라의 최고 스타로서, 스캔들이 나지 않을 수 없다. 그.. 2010. 11. 24.
양귀비의 고향은 어디인가? 글: 수진당리(瘦盡棠梨) 양귀비의 출생지에 관하여는 역대이래로 3가지 견해가 있었다. 일설은 광서용현(廣西容縣)이라는 것이고, 일설은 섬서화음(陝西華陰)이라는 것이고, 또 다른 일설은 산서포주(山西蒲州)라는 설이다. 이 세 가지 설은 모두 사료의 근거를 지니고 있다. 아래에서 하나하나 살펴보.. 2010. 6. 8.
조야나(曹野那): 당현종의 외국인 후궁 글: 양국선(楊國選) 풍류천자 당현종을 얘기하자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양귀비 양옥환을 떠올린다. 그런데, 당현종의 후궁들 중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온 외국인 후궁도 있었다. 이름은 조야나이다. 당현종에게는 30명의 아들, 29명의 딸이 있었다. 기록에 남아있는 황후비빈에는 유화비, 조여비, 전비, 황보덕의, 무혜비, 유첩여등 20명이다. 일부 비빈은 기록이 전해지지 않는데, 그중 가장 기이한 것은 "조야나희(曹野那姬)"이다. 의 을 보면, "수안공주(壽安公主). 조야나희 소생이다"라는 문구가 있다. 수안공주의 생모인 조야나에 대하여는 학계에서 오랫동안 누구인지 알지를 못했다. 그러나, 실크로드의 동서문화교류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중앙아시아 소그드(粟特)인과 고대중국의 밀접한 관계가 날로 중요하게 드러.. 2009.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