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록산20 안록산(安祿山)의 종족과 종교배경은...? (하) 글: 영신강(榮新江) 3. 안록산의 종교신앙과 그 응집력 안록산의 종교신앙문제에 대하여 이전에 언급한 경우는 많지 않다. 안록산은 호인이므로 마땅히 다른 호인들처럼 자신의 종교신앙이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소그드인은 페르시아에 유래하고 소그드특징을 지닌 조로아스터교를 믿었다. 중국에서는 천교(祆敎)라고 불렀다. 그래서 우리는 안록산도 천교신도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실은 증명한다. 안록산은 이런 종교신앙을 충분히 이용하여, 여러 호족민중을 단결시켰다. 그렇지만, 우리는 안록산이 정치인물로서 동시에 다른 종교의 역량도 이용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천보14년(755), 안록산은 유주 대민충사(大憫忠寺)의 동남부에 무구정광보탑(無垢淨光寶塔)을 건설했다. 방산석경(房山石經)에도 그.. 2023. 5. 14. 안록산(安祿山)의 종족과 종교배경은...? (상) 글: 영신강(榮新江) 1. 안록산의 소그드(粟特)종족 특징 안록산, 사사명(史思明)등이 반란을 일으킨 종교적 배경을 설명하려면, 먼저 그들의 종족 및 성장배경 즉 그들이 살았던 소그드족 취락의 상황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안록산의 종족에 관하여 일찌감치 1925년, 쿠와바라 지츠조우(桑原騭藏)가 요여능(姚汝能)의 에 근거하여, 강국(康國)출신의 소그드인이라고 하였다. 향달(向達)도 이 견해에 찬동했다. 진인각(陳寅恪)은 한걸음 더 나아가, 안사의 난(安史之亂)때 당나라사람들이 말하는 "잡종호(雜種胡)"는 대다수의 경우 아홉성의 소그드인(九姓粟特人)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1955년, Edwin G. Pulleyblank(중국명 蒲立本)는 성명, 내원(來源)등 방면에서 상세히 안록산이 막북 돌궐칸국내부에서 생.. 2023. 5. 14. 안록산(安祿山)은 반란후 1년만에 죽었는데, 안사의 난은 오랫동안 지속된 이유는...? 글: 압사룡(押沙龍) "안사의 난(安史之亂)"의 주인공 중 하나로서, 안록산은 아주 기이한 인물이다. 그는 능력도 있고, 야심도 있다. 그러나, 아주 집착적인 사명감같은 것은 없었다. 대사를 이루는 사람들은 왕왕 이런 사명감이 필요하다. 안록산은 투기꾼에 더 가까워보였다. 그는 낙양을 점령한 후 서둘르 황제에 오르고 국호를 대연(大燕)이라 한다. 그러나, 형세가 일단 악화되자 그는 신념을 잃어버린 듯했고, 이제 끝났다고 여기는 듯했으며, 곧 질거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부하가 그를 위로한다. "대사를 이루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수만의 무리를 거두어 천하에 횡행하며 도척(盜跖)이 되더라도 오년 십년은 지낼 수 있을 겁니다". 안록산은 그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한다: "네가 내 마음을 풀어주는구나.. 2022. 1. 3. 당현종은 왜 고선지(高仙芝)를 참형에 처했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안록산의 말발굽이 남하하여 기세등등하게 당나라의 양경(兩京)인 낙양(洛陽)과 장안(長安)으로 몰려들었다. 천하가 태평성세를 오래 누렸고, 곳곳에서는 춤추고 노래하며 즐겁게 살아가고 있었으므로, 이런 시기에 전투라는 것은 아주 낯선 단어가 되어 있었다. .. 2019. 12. 13. 안록산(安祿山)은 어떻게 장안을 점령하였을까?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천보15년(756년) 육월, 동관(潼關)이 함락된 그 날, 가서한(哥舒翰)의 부하는 화급히 상황을 조정에 보고하여 모두 준비를 하도록 한다. 그런데 당시에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당현종 이융기는 사자(使者)를 접견하지 않고, 단지 이복덕(李福德)등에게 부대를 .. 2018. 7. 19. 중국역사상 방어전에 뛰어난 5명의 명장 글: 지역사(知歷史) 이목(李牧) 이목은 전국말기 조(趙)나라 사람이다. 전국4대명장의 하나이다. 또한 조나라 후기의 유일하게 조나라를 지탱한 장수이다. 이목은 초기에 북부변방에서 흉노를 방어했다. 한번은 전투에서 흉노의 정예기병 십여만을 섬멸하여, 흉노가 수십년간 감히 남하하.. 2018. 3.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