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비60

맹공(孟珙): 남송에서 악비보다 뛰어났던 장수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소련에 D. A. Volkogonov박사라는 유명한 군사전문가가 있었다. 그는 <스탈린: 승리와 비극>이라는 책을 써서 세계에 이름을 떨친다. 그의 2차대전에 대한 연구는 독보적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있다. 그는 중국의 전사(戰史)에 대하여도.. 2018. 6. 15.
악비는 처가 바람났을 때 어떻게 하였을까? 글: 담사용(覃仕勇) 남송 소흥(紹興) 5년(1135년), 32살의 전쟁터의 새로운 스타이자 나중에 청사에 이름을 남기는 대영웅 악비(岳飛)에게는 인생에서 중천에 뜬 해와 같은 해였다. 그가 친히 이끄는 악가군은 비바람 속에서 흔들리는 남송왕조가 크게 의지하는 정예군이었다. "행영우변호군.. 2018. 2. 26.
공리주의역사관: 악비와 문천상을 민족영웅에서 몰아내다. 글: 조아도(趙亞濤) 1 12세기, 금나라군대가 황하를 넘고, 대송왕조는 순식간에 역사존망의 벼랑끝에 섰다. 송휘종,송흠종 두 황제는 왕공귀족을 이끌고 망국노(亡國奴)로 전락한다. 그러나 황하양안의 인민대중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대송왕조가 있었다. 상주부(相州府) 탕음현(湯陰縣)의.. 2018. 1. 23.
진대사(秦大士): 청나라때 장원을 한 진회의 후손 글: 소명진(蘇明眞) 천년이래로 진회(秦檜)의 악명은 그의 동족들로 하여금 그의 그림자 속에서 살도록 만들었다. 진회의 후손들 중에서 관직에 나간 사람은 아주 드물다. 청나라 건륭제 때에 이르러, 진대사라는 장원이 나타난다. 사료 기재에 따르면, 진대사는 자가 간천(澗泉)이고, 호.. 2018. 1. 11.
문천상(文天祥)은 왜 동생이 원(元)에 투항하는 것을 용납하였는가? 글: 조종국(曹宗國) 문천상에게는 동생이 3명 있었다. 문벽(文璧), 문정(文霆), 문장(文璋). 그중 문정은 요절했다. 1278년 문천상이 원에 포로로 잡혀서 투항하지 않고 결국은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나 그의 둘째동생 문벽은 혜주(惠州)를 지키다가 원나라군대가 대거 진격헤 들어오자 성문.. 2017. 3. 11.
청왕조는 왜 금왕조를 숭상하고 인정했는가? 글: 개풍문사(凱風文史) 여진인(女眞人)을 얘기하자면 모두 '정충보국'의 악비를 떠올릴 것이다. 그때 악비는 악가군을 이끌고 금왕조의 철기에 항거하여 용맹하게 싸웠다. 금왕조를 건립한 민족은 여진인이다. 그들은 일찌기 중국북방지구를 백년간 통치했고, 먼저 북송을 멸망시키고, .. 2016. 6. 29.
1234년 2월 9일: 하루에 2명의 금나라 황제가 죽은 날.....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하룻만에 두 황제가 연이어 죽었다. 어느 왕조인지 혹시 아는가? 바로 금왕조이다. 미친듯이 북송을 멸망시키고 변경을 점령했으며, 대명이 자자한 송휘종,송흠종 두 황제를 금나라 수도로 끌고갔던 그 왕조로 한때 불가일세하며 회남강북을 횡행하며 송고종이 .. 2016. 4. 22.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금수핍차패(擒帥逼車牌) 주차보수(丟車保帥)는 상지상의 전략이고 위기의 순간에 큰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상황하에서는 “장”만 평안무사하면, 잠시 포기한 “차”들도 사지에까지 몰리지는 않고 언제든지 재기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반대로, 이런 생사존망의 위기순간에 장수가 사병들의 앞에서 모범.. 2015. 10. 11.
중국역사상 초일류 십대무장(十大武將) 글: 단전룡(段錢龍) 1. 병가식신(兵家識神) 손무(孫武) 후인들이 그를 손자(孫子), 손무자(孫武子), 병성(兵聖), 백세병가지사(百世兵家之師), 동방병학비조(東方兵學鼻祖)로 추앙한다. 그는 기원전535년경에 출생했고, 일찌기 <병법> 13편을 오왕합려에게 보여주어, 장군의 직을 받는다. .. 2015. 3. 26.
호화사치한 곽자의(郭子儀)가 후세에 존경을 받는 이유는?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당나라의 대신 곽자의는 이당왕조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고, 극도로 호화사치한 인물이다. 곽자의의 매년 얻는 봉급은 24만관(貫)에 이르렀다. 백거이가 막 일을 시작했을 때 교서랑(校書郞)이었는데, 월급이 1만6천전(錢)이다. 1년으로 따져도 19만전가량이 된다. .. 201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