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17 아방궁의 역사진상(9): 아방궁이 보존된 주요원인은 무엇일까? 글: 진경원(陳景元) 아방궁 문제를 연구하면서 실제가치가 있는 성과를 얻어내려면, 반고의 <한서>를 돌아가서 기타 사료를 가지고 하는 것은 안된다. 왜냐하면 <한서>에 명확히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방궁은 아성이라고도 부르고, 진혜문왕이 건축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 2018. 2. 23. 진시황릉의 허실(5): 묘장을 만드는데는 반드시 지하수를 막아야 한다. 글: 진경원(陳景元) 인류가 나타난 이래, 각 시대의 사회생활과 생산은 모두 물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다만 이런 관계는 반드시 일종이 균형을 이루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만일 이용할 물이 충분하지 않다면, 넓은 삼림이 존재할 수 없고, 매년 풍성하게 수확하는 농지가 있을 수 .. 2018. 2. 7. 진시황릉의 허실(3): "황장제주(黃腸題湊)"는 7개월이면 완성할 수 있다. 글: 진경원(陳景元) 기실 원고(遠古) 시기의 묘장은 원래 아주 간단했다. <역.계사하>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상고혈거이야처(上古穴居而野處)" 원시인들은 모두 동굴안에 살고, 황야에서 생활했다. 사람이 죽은 후에는 그냥 들판에 버렸다. <맹자.등문공상>에는 "예전에는 그 가.. 2018. 2. 6. 상화(賞花): 중국 고인은 어떻게 꽃을 감상했는가? 글: 예방육(倪方六) 봄이 오면 꽃이 핀다. 베이징의 많은 유명한 풍경지역은 모두 "꽃이 바다처럼 피어 있고, 사람은 밀물처럼 밀려든다(花如海, 人如潮)" 상화는 자고이래로 봄날의 아름다운 일이다. 고대에는 상화시에도 따지는 것이 많았다. 예를 들어, 어떻게 "색(色)"을 볼 것인가? 어.. 2017. 7. 23. 한단(邯鄲): 3천년간 이름이 바뀌지 않은 도시 글: 대취간역사(大嘴侃歷史) 중국의 전설중에서, 상고시대의 인류시조인 여왜(女媧)는 한단의 고중황산(古中皇山)에서 흙으로 사람을 빚었으며 연석보천(煉石補天)했다. 그녀의 신력은 이들 진흙사람에게 생명을 불어넣어준다. 한단의 이름은 화하역사의 첫페이지부터 나타난다. 그.. 2014. 9. 7. 숙손통(叔孫通): 진나라 비인기학문 선생이 한고조를 따라 창업하다. 글: 광주일보 선진양한(先秦兩漢)은 중국역사상 취업기회가 가장 많았던 시기이다. 왜냐하면 이 시기는 바로 중국의 여러가지 제도가 창립되고 성장한 시기이기 대문이다. 새로운 업무가 계속하여 나왔고, 인재들이 출현하는데 광활한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외교를 잘 하는 자, 전투를 .. 2014. 1. 1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