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휘종52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은 일종의 오해이다. 글: 황작비비(黃雀飛飛) 송태조의 "배주석병권"의 이야기는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다. 세상사람들은 모두 조광윤이 천하를 얻은 이후, 공신들이 그가 했던 바를 배워서 모반작란을 일으킬까봐 두려워하여, 술을 마실 때 무장들을 권하여 병권을 포기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강산을 .. 2013. 11. 10.
위태후(韋太后): 남송의 국모 글: 섭지추(葉之秋) 황제의 여인은 보통 사람들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황제의 여인은 당연히 출신이 좋아야 하고, 집안이 고귀해야 한다. 송나라 황제의 비빈은 대부분 조정중신의 딸이다. 그러나 본문의 주인공인 위씨는 그저 비천한 시녀였을 뿐이다. 송철종때 재상을 지내다가 단.. 2013. 11. 9.
송휘종(宋徽宗)과 이사사(李師師) 글: 문재봉(文裁縫) 송휘종 조길(趙佶)은 일생동안 경박하게 지냈다. 화목석죽, 조수충어, 훈정서화, 산선도교를 좋아하는 외에, 여색을 목숨처럼 좋아했다. 나중에는 하루종일 여색에 빠졌다. 방탕한 생활에서 빠져나올 수가 없었다. 송휘종의 후궁은 구름처럼 많았고, 수량이 놀라웠다. .. 2013. 5. 18.
황제와 연단(煉丹) 글: 상한(桑寒) 이것은 무슨 논픽션소설이 아니다. 중국고대의 일부 제왕들도 수도(修道)를 했다. 자신이 지고무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귀문관으로 가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수도를 하여 신선이 되는 술법을 선택하였고, 장생불사의 약을 힘들게 찾아다녔다. 무슨 원영(元嬰), 도겁(.. 2013. 4. 13.
척설오추(踢雪烏騅): 황제가 하사한 천리마 글: 안입지(安立志) 최소한 호복기사(胡服騎射)부터, 전마(戰馬)는 군인들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반려였다. 북방의 흉노, 거란, 여진, 몽골등 민족이 중원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심지어 유라시아대륙을 종횡할 수 있었던 것은 주로 기병(騎兵)이 강대했기 때문이다. 이 전통은 냉.. 2012. 8. 19.
송휘종: 금나라에 포로로 잡힌 이후에도 6남 8녀를 낳다. 글: 승모헌(升玥軒) 송휘종 조길(趙佶)은 일생동안 두 가지가 많았다: 하나는 재주가 많았고, 다른 하나는 자녀가 많았다. 예술분야에서, 음시작부(吟詩作賦)이건, 전사작곡(塡詞作曲)이근 아니면 필묵단청(筆墨丹靑, 서예와 회화)이건, 국장경기(鞠場競技, 축국)이건 송휘종은 모두 일.. 2012.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