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조40 진교병변(陳橋兵變)의 또 다른 버전 글: 장효민(張曉珉) 진교병변이라는 이 사건은 후인들이 최대의 정치적업적이라고 반복해서 얘기한다. 조광윤이 왕조를 바꾸어서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것이 아니라, 이 황제는 부하를 통제하고, 기존질서를 바꾸지 않아서, 백성들이 전란의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해주고, 이를 통하여 문.. 2016. 3. 2. [황자쟁위술] 투량환주술(偸梁換柱術) 서자입적패(庶子入嫡牌) 이묘환태자편 송인종 조정(趙楨)은 송진종(宋眞宗)의 아들이다. 천희2년(1018년)에 태자에 오르고, 건흥원년(1022년)에 즉위하였으며, 유태후(劉太后)가 수렴청정을 한다. 명도2년(1033년) 유태후가 죽고나서 비로소 친정(親政)을 시작했다. 송인종은 42년간 황제위에 있었으며, 북송, 남송을 합쳐 재위기간.. 2015. 8. 13. 조광윤은 왜 황위를 아들이 아닌 동생에게 물려주었는가? 글: 이추우(李秋雨) 1036년전인 서기979년 6월 3일, 송태종은 북한(北漢)을 멸하고 오대십국의 분열국면을 종식시킨다. 오대후기, 통일의 추세는 나날이 분명해져갔다. 후주(後周)때, 주세종은 개혁을 진행하고, 역량이 크게 증강되었다. 그는 선남정 후북벌(先南征後北伐)의 통일방침을 세.. 2015. 6. 5. 오독천자(五毒天子) 조광의(趙光義) 글: 문풍탁탁(文風卓卓) 송태조 조광윤의 죽음은 대송의 제일의혹사건이다. 천년이래로 풀리지 않는 미제사건중 하나이다. 천백년이래, 사람들은 송태종 조광의라는 최대의 수혜자에게 혐의를 돌리는 동시에 증거를 대지 못하는 고민도 있다. 그리고 조광의가 내놓은 "금궤예맹" 즉, "조.. 2015. 1. 14. 장제현(張濟賢): 송나라때의 밥통재상 글: 철마음하(鐵馬飮河) 북송때의 인물인 장제현은 어려서부터 배부르게 먹은 적이 거의 없다. 그는 기골이 장대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크고 힘이 있었다. 그는 기골이 장대하였으므로 식사량도 보통사람보다는 훨씬 많았다. 그러나, 집안이 너무 가난하여, 어려서부터 거의 양껏 먹지를 .. 2015. 1. 1. 역사상의 '술주정'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술주정은 말 그대로 술을 마시고 하는 말이다. 평상시에 말하기 곤란하거나 말하기 어렵거나 심지어 말할 수 없는 말을 왕왕 술기운을 빌어서 얘기하게 된다. 그러나, 술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마는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어떤 경우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 2014. 5. 30.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