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70 북경시장 교체의 의미는? 글: 진사민(陳思敏) 2016년 10월 31일, 가장 핫한 인사뉴스는 전 북경시장 왕안슌(王安順)이 사직하고 차이치(蔡奇)가 시장직을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두 사람의 배경은 일목요연하다. 차이치는 시진핑이 사람이고, 왕안슌은 장쩌민파의 사람이다. 10년전, 후진타오가 천량위를 처리.. 2016. 11. 5. 중국의 미친듯한 토지자금수탈모델은 언제 종결될 것인가? 글: 채신곤(蔡愼坤) 중원지산연구센터가 최근에 발표한 자료를 보면, 현재까지 전국50대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이미 1.77조위안을 초과했다. 그 중 90%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100억위안을 넘겼고, 쑤저우, 난징, 상하이, 항저우의 토지매각수입은 더더욱 1000억위안을 넘었다. 과열도시에서.. 2016. 10. 12. 요문원(姚文元)의 실현되지 못한 출옥후 2가지 바램. 작자 미상 요문원은 1960,70년대에 아주 잘나간 글쟁이로, '무산계급이론가'이다. 문화대혁명 초기에 모택동은 "남요북척(南姚北戚)"(요문원 척본우)이라 불릴 정도이니, 그의 지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척본우(戚本禹)는 얼마후 타도되지만, 요문원은 여전히 잘나갔다. 1976년 10월 6일 밤에 .. 2016. 1. 1. 중국의 COE와 CEO 글: 사전(謝田)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의 중국사 교수이자 오스트레일리아 중국과세계연구센터의 소장인 Geremie R. Barme 박사(중국명 白杰明)는 최근 중국에 관한 2014년 연감을 발표했다. Barme는 1972년부터 중국문제를 연구하는 일생을 보냈다. 그때 그는 아직 대학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2015. 11. 25. PE큰손 "쉬샹(徐翔)" 배후의 3대세력 글: 진사민(陳思敏) 부패한 고관과 마찬가지로 PE큰손인 저시(澤熙)회사의 오너인 쉬샹은 11월 1일 체포되었다. 그리고 다음 날인 11월 2일 대륙의 매체는 그에 대한 보도를 쏟아냈다. 현재로서는 구체적으로 이름을 거명하여 보도하지는 않지만, 쉬샹의 배후에는 3갈래의 기득권구세력이 .. 2015. 11. 6. 지방채규모 급증의 배후 글: 강소어(姜小魚) 지방정부채무의 보고기한이 다가오면서, 시장은 지방정부채무의 발전에 갈수록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지방융자플랫폼은 "이익손해를 검토해본 후, 거의 모든 플랫폼회사는 모두 부담하는 채무를 있는대로 보고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만일 .. 2015. 1. 13.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