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24 노회신(盧懷愼): 당나라의 청렴재상 글: 허석림(許石林) 노회신은 당나라의 재상이다. 그는 범양 노씨(范陽 盧氏) 출신으로, 하북의 명문거족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집안명성을 아주 중시했고, 조금도 명예를 더럽힐 일을 하지 않았다. 당나라에서 문벌을 얼마나 중시하였던가? 황제인 이씨집안은 문벌이 높지 못했다. 그리.. 2014. 1. 29. 모기령(毛奇齡):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대가 글: 주운(周雲) 기실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사람은 현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고이래로 있었다. 일찌기 한나라때, 누군가 가짜경서를 만들거나, 유명학자의 제자를 사칭하며 여기저기 사기를 치고 다녔다. 그후, 이런 기풍은 계속되었다. 청나라때까지도 마찬가지이다. 청나라때의 학.. 2014. 1. 15. 담국경(覃國卿): 중국대룍 최후의 토비(土匪) 작자: 일명(佚名) 1965년 3월 24일, 중앙군사위는 선포한다: 중국대륙 최후의 토비 담국경이 섬멸되었다고. 담국경은 도대체 어떤 사람인가? 일개 토비를 토벌한 것이 왜 이렇게 시끄럽게 떠들 일이 되었을까? 그는 어떻게 여러번에 걸친 군사포위작전에도 15년간이나 생존할 수 있었을까? ".. 2013. 12. 28. 하왕조(夏王朝)의 건국연도와 관련한 연구 글: 이백겸(李伯謙) 하왕조의 건립은 중국고대문명연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이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다만 하왕조가 건립된 연대에 대하여는 설이 분분하여 하나로 모아지지 않는다. 지금까지도 모두가 받아들일만한 통일된 견해가 없다.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하왕조의 .. 2013. 7. 12. 상(商)왕조는 초기에 왜 천도를 자주 했는가? 작자: 미상 상왕조는 탕(湯)부터 시작하여 주(紂)에서 멸망할 때까지, 모두 17대 31왕을 내려가며, 근 6백년간 지속되었다. 약기원전16세기부터 기원전11세기까지이다. 상왕조의 역사상 아주 현저현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도성을 여러번 옮겼다는 것이다. 탕이 처음에 도업으로 정한 곳은 .. 2013. 5. 18. 중국은 고대에 왜 구주(九州)라 칭했는가? 글: 오한운(吳閑雲) 중국은 고대에 "구주"라 칭해졌다. 그렇다면 구주는 어디어디인가? 역대이래로 서로 견해가 달랐고, 정설은 없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르게 나누었기 때문이다. 주류는 대체로 아래의 몇 가지 견해이다: <상서.우공>: 기주(冀州), 곤주(衮州), 청주.. 2013. 2.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