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길15 옥문관(玉門關)과 양관(陽關) 글: 선병선(宣炳善) 2014년 6월 22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된 제38회세계유산대회에서 이렇게 선포한다: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키즈스탄 3개국이 공동으로 신청한 실크로드(비단길) "장안-천산" 주랑도로망이 성공적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 길은 최초에 서한(西漢)의 장건(張.. 2014. 10. 2. 당나라 "조공"외교의 진상 글: 맹헌실(孟憲實) 영국과 미국은 근대이래 세계역사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 두 개의 서방국가이다. 영미역사를 분석해보면, 하나의 중요한 외재적환경이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즉 '명예로운 고립(splendid isolation)'이다. 영국은 유럽대륙과 상대적으로 분리되어 있.. 2014. 4. 4. 유방(劉邦)과 한중(漢中) 글: 가운봉(賈雲峰) 기원전206년, 한때 유계(劉季)로 불리웠던 유방은 왕이 된다. 한왕 유방은 남정(南鄭, 지금의 한중시 한대구)를 도읍으로 정하고, 봉지는 진령이남의 파(巴), 촉(蜀), 한중(漢中)의 3군지지(三郡之地)이다. 유방이 부대를 이끌고 한중에 들어가기 전에 모사 장량은 그에게 .. 2014. 1. 29. 누란고성(樓蘭古城)이 사라진 이유는? 글: 문재봉(文裁縫) 1900년 3월 27일, 저녁 타클라마칸사막. 한 백인노인은 몇 명의 가이드와 몇 마리의 낙타를 타고 천천히 가고 있었다. 석양의 아래, 그들의 그림자는 길고도 길게 늘어졌다. 고탑리목하의 강물을 따라, 그들은 행방이 묘연한 로프노르(Lop Nor, 羅布泊)호수를 찾고 있었다. .. 2013. 4. 13. 정화하서양(鄭和下西洋)이 티무르제국의 동진을 견제하기 위해서인가? 작자: 미상 티무르 정화하서양의 목적에 대하여 고찰하는 여러가지 논저중에서, 아주 권위있는 한 가지 견해가 있다. 즉, 정화하서양은 티무르의 동진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이 설은 정화하서양이라는 역사사건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그저.. 2012. 1. 31. 돈황석굴 장경동(藏經洞)의 수수께끼. 글: 문재봉(文裁縫) 고대 비단길인 하서주랑에 위치한 막고굴(莫高窟)의 여러 동굴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제17굴 즉 장경동이다. 돈황 장경동에서 출토된 문헌은 오호십육국때부터 시작하여 오대십국, 송초까지 근 7세기에 걸쳐 있다. 그러므로, 돈황의 이들 문헌은 그 자체가 중국서법을 연구하는 .. 2010. 9. 2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