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현령20 한본위(漢本位): 중국의 국세가 날로 쇠락한 근본원인 글: 곽상학(郭翔鶴) 오늘의 중국을 보면, 중국인의 두뇌는 이미 서양인들에게 심각하게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한본위의 각도에서 문제를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글을 시작하면서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이야기를 인용하고, 민족차이가 인류사회를 발전시키는 근본동력이라는 것을 분.. 2013. 2. 4. 이세민(李世民)은 정신분열환자이다 글: 무만란강(霧滿拦江) 이세민의 역사적 공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자면, 그는 기껏해야 플레이보이에 괴상한 황제이다. 대량의 진실한 사료가 이미 이세민 본인에 의하여 고쳐졌기 때문에, 우리는 그 시대를 제대로 관찰할 수가 없게 되었다. 우리가 역사서에서 보는 것은 이세민이 .. 2012. 9. 19. 당나라의 명재상 요숭(姚崇)은 어떻게 정적에 대처했는가? 글: 소풍(小楓) 당시 보통사람들에게 있어서, 재상은 큰 수수께끼이다. 생각해보라. 깊은 저택에 앉아서, 호풍환우의 능력을 지니고, 미치지 않는 곳이 없는 권세를 가지고 있다. 누가 그의 생각을 꿰뚫어볼 수 있겠는가? 요숭은 바로 이런 재상이었다. 그는 650년에 태어났고, 섬주 섬석(지.. 2012. 6. 10. 현무문의 변의 진정한 원인 글: 서성명(徐星明) 수말당초시기의 역사에 대하여 <<자치통감>. <<구당서>> <<신당서>>등 사서이든, <<수당연의>> <<와강연의>> <<설당>>등의 연의소설이건, 아니면 현대의 일부 역사연구문헌에서 근년에 출판된 <<정관장가>> <<정관지가>&g.. 2008. 6. 26. 장손황후: 당태종이 가장 신뢰한 정치고문 글: 맹헌실(孟憲實) 장손황후가 자기가 관리하는 일만 잘 처리했더라면, 그녀의 지위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최소한 우리가 오늘날 그녀를 평가하는 것처럼 높지는 않았을 것이다. 역사적 사실이든 당태종의 인식이든. 장손황후는 절대 단순히 우수한 후궁관리인이 아니었다. 실제로 장손황후는 이.. 2007. 11. 7. 난정서(蘭亭序)에 대한 새로운 해석 <<난정서>> (당. 풍승소 모본, 신룡본, 북경고궁박물원 소장) <<난정서>> (원. 조맹부 모본) <<난정서>> (송. 인종 조정 모본) <<난정서>> (수. 개황 모본) <<난정서>>(청. 강희 모본) <<난정서. 현대. 모택동 글씨) <<난정서>> (청. 정판교 모본) 글: 예방육.. 2007. 4.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