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변법25 무술변법의 실패는 외국인의 개입때문이다? 글: 조종국(曹宗國) 청나라말기의 무술변법은 원래 대세의 흐름이고, 여론도 거세었다. 그리고 서태후의 동의를 거쳐 광서제가 앞장서서 추진했다. 그런데 왜 단지 103일간 진행하다가 돌연 서태후는 마음을 바꾸어, 황제를 유폐시키고 변법은 중도에 요절했는가? 옛 교과서에서는 이렇게.. 2013. 6. 26. 서태후의 마지막 하루 글: 이옥광(李玉廣) 1908년 11월 15일 새벽 서태후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잠에서 깨었다. 즉 소위 "청가(請駕)"이다. 전날, 즉 14일에 광서제가 붕어했다. 서태후는 종일 광서제의 후사를 처리하느라 바빴고,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저녁 늦어서야 쉴 수 있었다. 무엇때문인지 몰라도, 서.. 2013. 6. 11. 광서제의 연금생활은 어떠했는가? 글: 낙방거사 "무술변법"이 실패한 후, 서태후는 광서제의 명의로 유지를 반포하여, 광서제는 질병으로 조정업무를 처리할 수 없어, 서태후가 다시 "훈정"을 한다고 선언한다. 그녀의 이번 "훈정"은 이전의 "수렴청정"과는 달랐다. 직접 황제와 나란히 앉아서 신하들을 마주하고 업무를 듣.. 2013. 6. 10. 누가 무술변법(戊戌變法) 실패의 원흉인가? 글: 장굉걸(張宏杰) 백년세월의 얇은 장막을 통해 무술변법의 전후를 살펴보면, 우리는 분명히 발견할 수 있다. 중국현대화전환이라는 이 중요한 발걸음은 실패로 끝날 운명은 아니었다는 것을. "변법"은 그 당시 '대세'였고, '여러 사람들이 바라는 바'였다. '변법'을 시작할 때, 형.. 2012. 1. 31. 광서황제(光緖皇帝)와 메이지천황(明治天皇) 글: 왕룡(王龍) 중일양국의 근대사상, 광서와 메이지라는 두 역사인물은 하나는 대국의 구오지존인 황제였고, 다른 하나는 협소한 섬나라의 '만계일세'의 천황이었다. 19세기중엽 마찬가지로 서양열강에 의하여 나라의 문을 열도록 핍박받는 위급한 시기에 그들은 변법유신을 실행하여 위기를 만회해.. 2009. 12. 18. 캉유웨이(康有爲): 이상추구와 현실선택의 차이 글: 마라(摩羅) 이는 하나의 기이한 현상이다: 어떤 때는 한 위대한 역사인물이, 그가 마음 속으로 생각하는 것과 그가 손끝으로 행하는 것이 왕왕 많이 다르다. 그의 이상추구와 현실선택의 차이는 자주 사람을 놀라게 한다. 캉유웨이가 1894년 <<대동서>>를 쓸 때, 그는 아직 36세의 청년이며, .. 2008. 10. 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