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영종27 토목보지변(土木堡之變)이후 주기옥(朱祁鈺)은 어떻게 황제로 추대되었는가? 글: 두문자(杜文子) 정통14년 칠월, 대명의 북방 변관에서 긴급한 사태보고가 올라왔다. 오이라트가 침입했다! 명영종(明英宗) 주기진(朱祁鎭)은 왕진(王振)의 꼬드김에 넘어가 바로 친정(親征)에 나서게 된다. 명영종은 이렇게 경솔한 결정을 한 것에 대하여 참혹한 댓가를 치르게 된다. .. 2018. 9. 11. 명영종(明英宗) 복수기: 복위후 누구를 죽였는가? 글: 두문자(杜文子) 경태8년 정월, 명영종은 '탈문지변(奪門之變)'을 통하여 복위에 성공한다. 비록 다시 권력의 꼭대기로 되돌아왔지만, 이때의 명영종은 내심이 취약하고 공허했다. 다시 무슨 변고가 일어나지 않을까 노심초사한다. 그리하여 자신의 지지자들(탈문공신들)과 상상 속의 '.. 2018. 7. 24. 만귀비(萬貴妃)는 어떻게 성화제(成化帝)의 총애를 독점했을까? 글: 두문자(杜文子) 성화제 주견심(朱見深)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여인은 바로 만귀비이다. 그녀는 주견심이 일생동안 유일하게 사랑했던 여인이다. 만귀비가 죽은 후, 성화제는 심지어 이로 인하여 병석에 드러누워 반년후에 세상을 떠나고 만다. 이를 보면, 만귀비는 주견심의 생명역.. 2018. 7. 4. 성화제(成化帝)는 이미 금의위(錦衣衛)와 동창(東廠)이 있는데, 왜 서창(西廠)을 만들었을까? 글: 두문자(杜文子) 성화 13년, 대명은 태감 왕직(汪直)을 우두머리로 하는 특무기구 서창을 만든다. 이전에 이미 금의위와 동창이라는 두 개의 특무기구가 있지 않았는가? 그리고 이 두 기구의 업무능력은 약하지 않았다. 그런데 왜 성화제는 다시 힘을 들여 서창을 설립하게 되었을까? 첫.. 2018. 6. 23. 명영종 사후 양궁존호지쟁(兩宮尊號之爭) 글: 사우춘(史遇春) 천순8년 정월 십칠일(1464년 2월 23일) 명영종(明英宗) 주기진(朱祁鎭)이 붕어하니 향년 38세이다. 이월 을미(이월 십이일)(1464년 3월 19일), 묘호를 영종이라 하고 유릉(裕陵)에 매장한다. 정월 이십삼일(2월 29일), 즉 명영종이 사망한지 일칠(一七, 혹은 頭七, 즉 사망한지 .. 2018. 6. 8. 중국역사상 방어전에 뛰어난 5명의 명장 글: 지역사(知歷史) 이목(李牧) 이목은 전국말기 조(趙)나라 사람이다. 전국4대명장의 하나이다. 또한 조나라 후기의 유일하게 조나라를 지탱한 장수이다. 이목은 초기에 북부변방에서 흉노를 방어했다. 한번은 전투에서 흉노의 정예기병 십여만을 섬멸하여, 흉노가 수십년간 감히 남하하.. 2018. 3. 1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