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조22 장거정(張居正)의 권력탈취계획 글: 신룡과삼강(神龍跨三江) 장거정(1525-1582) 자는 숙대(叔大), 아명은 백규(白圭), 호는 태악(太岳), 시호는 "문충공(文忠公)", 호광 광릉(현재의 호북성) 사람이다. 명나라때의 걸출한 정치가, 개혁가이다. 그가 집정한 10년의 기간동안, 정치, 경제, 군사등 분야에서 중대한 개혁을 했고, 국.. 2013. 6. 26. 명나라의 4차에 걸친 북경위기 글: 창해일적수(滄海一滴水) 명나라가 건국한 후 276년간(1368년-1644년), 일찌기 3번이나 제국의 심장인 수도를 직접 위협하는 대사건이 벌어졌고, 명나라는 거의 멸망직전까지 갔다. 이 3차의 대사건은 각각 1449년 야선(也先)이 이끄는 와랄(瓦剌)부의 북경포위공격; 1550년 엄달한(俺達汗)이 .. 2013. 4. 13. 왕기재연(王氣在燕): 명나라의 수도가 북경으로 정해진 경위는? 글: 우좌(于左) 명성조 주체(영락제)가 등극한 후, 공신들에게 크게 상을 하사한다. 장신(張信)도 봉상(封償)을 받은 사람중 하나이다. 그는 융평후(隆平侯)에 봉해지고, 식록(食祿) 1천석을 받았다. 자손들은 융평백(隆平伯)을 세습할 수 있다. 장신이 중요한 순간에 한 선택은 자신에게 그.. 2013. 3. 13. 편집광(偏執狂)과 살인광(殺人狂): 주련십족(誅連十族) 글: 향비(向飛) 황제가 반역죄를 저지른 자들을 죽일 때면 자주 "주련구족(誅連九族, 구족을 주살한다)"이라는 말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구족"은 일반적으로 "부계4족, 모계3족, 처계2족"을 말한다. 여기서 '부계4족"이라 함은 부모, 형제, 자매, 아들; 출가한 고모와 그 아들; 출가한.. 2012. 2. 6. 정화(鄭和)의 신세내력 작자: 미상 대명의 수도 남경, 홍무15년 십월의 어느 날, 그저 '악...' 하는 비명이 들렸다. 한 회족 사내아이의 물건이 칼을 쥔 노사부에 의하여 잘려나갔다. 그의 이후 신분은 "소내사(小內史)"이다. 그가 바로 나중에 대명이 자자해지는 삼보태감(三寶太監) 정화(鄭和)이다. 이해에 .. 2012. 2. 1. 명나라와 서역(西域)의 관계 작자: 미상 종객파 토번(吐蕃)과 중국은 오래된 적수이고, 교분이 오래된 친구이기도 하다. 당왕조가 멸망한 후, 토번도 내란에 빠진다. 이때부터 쌍방간의 교류는 적어진다. 남송시기에, 징기스칸의 세력이 확대되면서, 토번은 부득이 복종하여, 원나라의 종주국지위를 인정하게 .. 2012. 2.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