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양62

북송(北宋)이 개봉(开封)을 도읍으로 정한 것이 실수였을까? 글: 고과노인(孤寡老人)​북송의 국도는 개봉이다. 이곳은 북방으로는 강적이 버티고 있다. 황하(黄河)라는 천험(天险) 외에는 더 이상 수도를 방어하는데 험준한 지형이나 지물이 없다. 나중에 금나라 군대가 밀고 들어오자 추풍낙엽처럼 무너져서 북송이 멸망하게 된다. ​그래서, 북송이 개봉을 도읍으로 삼고, 다른 곳으로 천도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지금까지 계속 잘못이라고 인식되어왔다.​송태조(宋太祖) 조광윤(赵匡胤)은 한번 장안(长安)이나 낙양(洛阳)으로 천도할 것을 제의한 바 있었다. 그러나 송태종(宋太宗) 조광의(赵光义)가 반대했고, 그후 몇달이 지나지 않아 조광조는 사망한다.​기실, 천도가 곤란하다는 정치적 요소를 제외하고, 북송이 천도하지 않은 것은 그 나름대로의 목표가 있었기 때문이다.​개봉은 연운십.. 2024. 5. 16.
하남(河南)의 문화를 누가 묻어버렸는가? 글: 성시적지득(城市的地得) ​ 어제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한 친구가 수업때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고 한다. 낙양(洛陽)의 고속철역에 대학생들이 금의위(錦衣衛) 복장을 하고 설날을 맞이하여 귀향하는 사람들을 맞이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 학생들은 그건 괜찮지 않느냐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금의위는 금의환향의 의미도 있지 않습니까?" ​ 이건 기담괴론이 아니다. 많은 젊은이들의 인식이다. 비록 바이두백과에서 금의위가 무엇인지 찾아볼 수는 있겠지만, 누가 귀찮게 그걸 검색하고 있겠는가? 그렇게 복잡하게 알아보는 것보다 이렇게 간단하게 생각하는게 더 낫지 않겠는가? ​ 어떤 하남사람들(대부분 낙양에 사는 사람들)은 나를 공격한다. 역시 같은 의미이다. 그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금의위.. 2024. 1. 30.
이원길(李元吉)은 왜 이세민(李世民)의 편이 아닌 이건성(李建成)의 편에 섰을까? 글: 역사전록(歷史典錄) 당고조(唐高祖) 이연(李淵)에게는 아들 넷이 있었다. 장남 이건성, 차남 이세민, 삼남 이현패(李玄覇, 요절), 사남 이원길. 이연이 진양(晋陽)에서 거병했을 때, 이원길은 겨우 15살이어서, 무리를 따라 관중으로 가지 않고, 진양에 남아 있으면서 후방을 지켰다. 이연은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가 대당정권을 건립한다. 이원길은 제왕(齊王)에 봉해지고, 병주총관(幷州總管)에 임명된다. 다만, 이원길은 형편없었다. 군벌 유무주(劉武周)가 공격해 들어오자 놀라서 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그후 그는 둘째형 이세민을 따라서 왕세충(王世充)을 포위공격하고, 두건덕(竇建德)과 싸우며, 유흑달(劉黑闥)을 소탕해쏙, 서원랑(徐圓朗)을 격퇴시키면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우고, 자신의 세력을 배양했다. 천.. 2022. 5. 12.
삼국시대 조위(曹魏)는 왜 5개의 도성(都城)을 두었을까? 글: 역사D학당 역사상 많은 왕조는 정치, 군사, 경제적인 여러가지 고려하에 수도 이외에 일부 중요도시에 도성을 설치했고, 그 지역중심 및 전략요충지로서의 작용을 발휘하게 했다. 예를 들어, 진나라때는 구도(舊都) 옹성(雍城)과 신도(新都) 함양(咸陽)을 두었고, 동한(東漢)왕조는 서경(西京) 장안(長安)과 동경(東京) 낙양(洛陽)을 두었으며, 명나라는 북도(北都) 북경(北京), 중도(中都) 봉양(鳳陽), 남도(南都) 남경(南京)의 세개의 도성을 두었다. 그런데, 삼국시대 조위는 그중 특별한 경우이다. 나라의 강역은 북방의 절반인데, 다섯개의 도성을 설치한다. 는 이렇게 적고 있다: "위나라는 장안(長安), 초(譙), 허창(許昌), 업(鄴), 낙양(洛陽)을 오도(五都)로 하였다" 도성의 수량은 심지어 강.. 2021. 12. 12.
촉한(蜀漢)에서 강유(姜維)의 북벌을 반대한 세 사람은..... 글: 구개명(瞿凱明) 제갈량은 생전에 계속 북벌을 주장했고, 정사기록에 따르면 전후로 5회에 걸쳐 북벌을 진행한다가 오장원에서 병사한다. 그는 진정 "국궁진췌(鞠躬盡瘁), 사이후이(死而後已)"를 실천했다. 제갈량의 사후, 강유는 제갈량의 계승자로서 계속 북벌을 주장하고 한실의 부흥을 도모했다. 그러나, 강유의 북벌에 대하여 3명이 강력하게 반대한다. 그리고 이 세 사람은 촉한에서 아주 중요한 사람들이다. 비록 그들이 강유의 북벌을 강력하게 막았지만, 강유는 그들의 말을 듣지 않고 북벌을 감행한다. 강유의 북벌을 반대한 첫번째 인물은 비위(費褘)이다. 비위는 관직이 대장군에 이른다. 보정(輔政)기간동안 강유가 매번 북벌할 때마다 비위는 제한한다. 강유에게 제공한 병력은 만명을 넘지 않았다. 비위는 강유에게.. 2021. 12. 1.
출토유물로 본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킨 이유는...?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하왕조는 중국사서에 기록된 최초의 세습제 왕조이다. 건국자는 요순우(堯舜禹)시대의 우(禹)이다. 하왕조는 전후로 약 471년간(기원전2070년-기원전1600년) 존속했고 후인들은 스스로를 '화하(華夏)'로 자칭하여, 중국의 대명사가 된다. 3,600년전에 상(商)이 하(夏)를 멸망시키고 상탕(商湯)이 상왕조를 건립한다. 당시 하왕조의 수도는 현재의 정주(鄭州)와 낙양(洛陽)의 사이에 있는 언사현(偃師縣)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상탕이 건립하기 시작한 초기 상왕조의 수도는 당시 하왕조의 수도 부근에 있었다. 즉 현재의 정주(鄭州) 상성(商城) 유지이다. 하왕조의 마지막 왕은 하걸(夏桀)이다. 상탕이 하걸을 이길 수 있었던 것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은 이러하다: 하걸은 포악하고, 생.. 2020.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