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길(李元吉)은 왜 이세민(李世民)의 편이 아닌 이건성(李建成)의 편에 섰을까?
글: 역사전록(歷史典錄) 당고조(唐高祖) 이연(李淵)에게는 아들 넷이 있었다. 장남 이건성, 차남 이세민, 삼남 이현패(李玄覇, 요절), 사남 이원길. 이연이 진양(晋陽)에서 거병했을 때, 이원길은 겨우 15살이어서, 무리를 따라 관중으로 가지 않고, 진양에 남아 있으면서 후방을 지켰다. 이연은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가 대당정권을 건립한다. 이원길은 제왕(齊王)에 봉해지고, 병주총관(幷州總管)에 임명된다. 다만, 이원길은 형편없었다. 군벌 유무주(劉武周)가 공격해 들어오자 놀라서 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그후 그는 둘째형 이세민을 따라서 왕세충(王世充)을 포위공격하고, 두건덕(竇建德)과 싸우며, 유흑달(劉黑闥)을 소탕해쏙, 서원랑(徐圓朗)을 격퇴시키면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우고, 자신의 세력을 배양했다. 천..
2022. 5. 12.
삼국시대 조위(曹魏)는 왜 5개의 도성(都城)을 두었을까?
글: 역사D학당 역사상 많은 왕조는 정치, 군사, 경제적인 여러가지 고려하에 수도 이외에 일부 중요도시에 도성을 설치했고, 그 지역중심 및 전략요충지로서의 작용을 발휘하게 했다. 예를 들어, 진나라때는 구도(舊都) 옹성(雍城)과 신도(新都) 함양(咸陽)을 두었고, 동한(東漢)왕조는 서경(西京) 장안(長安)과 동경(東京) 낙양(洛陽)을 두었으며, 명나라는 북도(北都) 북경(北京), 중도(中都) 봉양(鳳陽), 남도(南都) 남경(南京)의 세개의 도성을 두었다. 그런데, 삼국시대 조위는 그중 특별한 경우이다. 나라의 강역은 북방의 절반인데, 다섯개의 도성을 설치한다. 는 이렇게 적고 있다: "위나라는 장안(長安), 초(譙), 허창(許昌), 업(鄴), 낙양(洛陽)을 오도(五都)로 하였다" 도성의 수량은 심지어 강..
2021.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