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양62

안록산(安祿山)은 어떻게 장안을 점령하였을까?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천보15년(756년) 육월, 동관(潼關)이 함락된 그 날, 가서한(哥舒翰)의 부하는 화급히 상황을 조정에 보고하여 모두 준비를 하도록 한다. 그런데 당시에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당현종 이융기는 사자(使者)를 접견하지 않고, 단지 이복덕(李福德)등에게 부대를 .. 2018. 7. 19.
중국역사상 "남경"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도시는...? 글: 한곤(寒鯤) 이전에 '북경'을 소개한 것과 마찬가질, '남경'이라는 명사도 처음에는 어느 소재지구와 관련된 전용지명은 아니었다. 역대왕조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지구에 설치된 행정색채가 충문한 '행정지명'이었다. 왕왕 '남도(南都)'와 동의어로 쓰였다. 모두 '남방의 경성, 혹은 .. 2018. 7. 15.
구(丘): 구씨사당은 세계최대규모이다.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중국의 성씨는 황제(黃帝)시기에 기원하고, 춘추전국시대에 대량으로 발생한다. 주(周)나라가 건립된 후 자신의 종족, 공신, 상고성현의 후예를 분봉하여 제후국으로 삼는다. 이들 소국이 멸망한 후에 현재의 대다수 성씨가 생겨난다. 주나라의 공신 강태공(姜太.. 2018. 7. 9.
중국에서 1000년이상 개명하지 않은 역사도시들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12. 남창(南昌) 오대십국(五代十國)시기인 959년 남당(南唐)은 홍주(洪州)를 남창부(南昌府)로 승격시킨다. 지금까지 1000여년이 흘렀다. 11. 복주(福州) 당(唐)나라 개원13년(725년), 원래의 민주(閩州)를 복주(福州)로 개명한다. 지금으로부터 1300년전의 일이다. 10. 양주(.. 2018. 6. 26.
위십방(韋什方): 자신의 나이가 400살이라고 무측천을 속여서 재상이 되다. 글: 모운서(慕雲舒) 무측천이 황제를 칭하던 무주(武周)시기에, 이런 재상이 있었다. 자칭 동오(東吳) 손권(孫權)연대에 태어나서 400여살을 살았다는 위십방이다. 694년, 무주의 도성인 신도(神都, 낙양)에 3명의 기인(奇人)이 온다. 첫째는 하내(河內)에서 온 늙은 비구니로 낙양 인지사(麟.. 2018. 3. 15.
한화제(漢和帝)는 어떻게 "영원지륭(永元之隆)"을 이룩했을까?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한화제 유조(劉肇)는 동한의 네번째 황제이다. 건초4년(79년)에 태어났고, 한장제(漢章帝) 유달(劉炟)의 넷째아들이다. 생모는 양귀인(梁貴人)이며, 나중에 황후 두씨(竇氏)의 양자로 들어간다. 건초7년(82년), 한장제는 황태자 유경(劉慶)을 폐위시키고, 유조를 황태.. 2018.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