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굴원15

형주(荊州): 초(楚)나라 4백년 도읍지 글: 정수영(程遂營) 삼국시대 유비(劉備)가 형주를 빌리고(借荊州), 주유(周瑜)가 형주를 빼앗고, 관우(關羽)가 형주를 잃는 이야기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이백(李白)의 시에 나오는 "천리강릉일일환(千里江陵一日還)'의 '강릉'은 바로 오늘날의 형주를 가리킨다. 역사상 형주가 휘황했던 시기는 삼국시대도 아니고 당나라때도 아니다. 일찌기 2000여년전의 춘추전국시대이다. 초나라는 형주를 400년간 도읍지로 삼았다. 형주라는 명칭은 예로부터 있었다. 하(夏)나라초기 대우(大禹)가 구주(九州)를 설치하면서, 장강중류를 형주로 하였다. 동시에 선진(先秦)의 여러 사적들 예를 들면 등에서는 형(荊)과 초(楚)는 왕왕 같은 뜻으로 쓰였다. 초국(楚國)을 형국(荊國)이라고도 불렀다. 오늘날 초문화는 형초문화.. 2022. 4. 20.
중국고대의 '명(名)'과 '자(字)' 글: 고건가원(古建家園) 명자(名字, 중국에서는 '이름'이라는 뜻으로 쓰임)는 개인의 부호표시이다. 사람과 사람간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쓰는 칭호이다. '명자'는 대부분 간단하다. '성(姓)'과 '명(名)'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성'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고, 혈연관계를 나타낸.. 2019. 8. 25.
단오(端午)의 유래에 관하여 글: 교치백교복(喬治伯校服) "단오"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진(晋)대 주처(周處)의 <풍토지>이다: "중하단오(仲夏端午), 팽목각서(烹鶩角黍)", "중하단오(仲夏端午), 단(端), 시야(始也), 위오월초오야(謂五月初五也)" 음력은 지지(地支)로 달을 표시한다. 정월은 인(寅), 이월.. 2019. 6. 6.
"초수삼호(楚雖三戶), 망진필초(亡秦必楚)"의 뜻은? 글: 하동노경(河東老景) 에는 이런 기재가 있다: "무릇 진이 육국을 멸할 때, 초나라가 가장 죄가 없었다. 초회왕이 진에 들어간 이래 반기를 들지 않았기 때문에, 초나라사람들은 지금까지도 초회왕을 가련하게 여긴다. 그래서 초남공은 "초수삼소, 망진필초"라고 하였다." (남공은 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으로 음양가이며 31편을 지었다.) 족보에는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초나라는 세자로 대표되는 왕족(적장자 혹은 왕장자)이외에, 나머지는 갈라져 나가서 많은 "씨(氏)"를 가진다. 초왕의 나머지 아들들은 "씨"를 가진다는것이다. 그 중에서도 소(昭), 굴(屈), 경(景)의 세 씨가 가장 강대해서 초나라의 지주였다. 삼족의 자제들은 초나라의 고위관직을 세습하여 맡아왔다. 굴원은 일찌기 삼려대부(三閭大夫)를 맡았는데.. 2019. 1. 13.
왜 중국에는 진정한 신앙이 없을까? 글: 진호무(陳浩武) 중국인의 종교의식은 발달하지 않았다. 이것은 세계가 인정하는 것이다. 오늘날까지 예를 들어 필자 본인같은 경우 누구고 나에게 하나님을 믿게 만들 수는 없다. 내가 하나님을 믿는 것은 불가능하다. 나는 무신론자이다. 다만 나에게 기공대사(氣功大師)를 믿게 하.. 2018. 7. 4.
주(周)나라이전에는 여성만이 성권력(姓權力)을 가졌다. 글: 정정(丁丁) 성명(姓名)을 얘기하자면 현재의 사람들은 이미 부친의 성을 따르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남녀평등이 점차 강조되면서 현재는 일부 자녀들이 모친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다만, 아마 여러분은 생각지 못했을 것이다. 성권력은 인류모계사회와 부계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특.. 2017. 6. 22.